Publications

노인의 삶의 질 지수 개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for Older Pers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경희
dc.contributor.author오영희
dc.contributor.author황남희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정석
dc.date.accessioned2018-03-13T17:30:18Z
dc.date.available2018-03-13T17:30:1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bn978896827477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085
dc.description.abstract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인의 삶의 질이 한국 사회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조건과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삶의 질 지표체계 개발 및 지수화 작업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6개 영역, 22개로 구성된 한국 노인의 삶의 질 지표체계를 개발하였고, 가용통계원이 있는 경우 국제비교 및 시계열 비교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노인의 삶의 질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지표체계의 지속적인 수정보완 방안을 함께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Korean population ages at a rapid pace, the impact of older persons’ quality of life of the whole population is growing. Also, because of the limited ability of GDP to capture th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life, not on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ut also individual countries such as Korea have attempted to develop and apply social indicators to measure quality of life.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conducted to develop indicators exclusively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Korean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basic concepts and previous research on quality of life. The second part presents a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for older persons that is composed of 6 dimensions and 22 indicator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expert survey. In the third part, based on these indicators, the actual quality of life scores of older Koreans are reviewed in comparison with their counterparts in Sweden, Germany, the UK, and Spain. Also, gender and age-group comparisons were conducted and time series changes were examined for older Koreans’ quality of life. The last part makes policy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기본 개념 및 선행연구 검토 13 제1절 기본 개념 검토 15 제2절 선행연구 검토 21 제3장 노인의 삶의 질 지표체계 개발 65 제1절 지표체계 개발 과정 67 제2절 노인의 삶의 질 지표 개요 81 제3절 개별지표의 정의 및 산식 84 제4장 노인의 삶의 질 시산을 위한 기초 검토 109 제1절 개별지표별 자료원 검토 111 제2절 지수화 방법 119 제5장 노인의 삶의 질 수준 127 제1절 노인의 삶의 질 국제 비교 129 제2절 인구집단별 노인의 삶의 질 현황 140 제3절 노인의 삶의 질 변화 추이 150 제6장 결론 161 제1절 주요 결과 종합 163 제2절 정책적 함의 165 제3절 지속적인 지표체계의 보완 169 제4절 데이터베이스 구축 174 참고문헌 181 부 록 189 부록 1. 제1차 전문가 조사 조사표 189 부록 2. 제2차 전문가 조사 조사표 198 부록 3. 전문가 리스트 208 부록 4. 개별지표의 지역별 현황 209 부록 5. 지표별 국내외 관련 분석 문항 216 부록 6. 개별지표의 국가별(한국, 영국, 스페인, 스웨덴, 독일) 현황 222 부록 7. 개별지표 관련 연도별, 성‧연령별 통계 22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의 삶의 질 지수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for Older Pers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삶의 질
dc.subject.keyword사회지표
dc.subject.keyword지표체계
dc.subject.keyword지수화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경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영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황남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선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7-2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7-25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