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현황과 정책과제 = The consumer-oriented child care service 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date.accessioned2018-03-13T17:30:14Z
dc.date.available2018-03-13T17:30:1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isbn978896827471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9081
dc.description.abstract저출산 극복을 위한 보육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 수요에 대한 세분화된 욕구 분석과 대상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방안 마련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및 이용 현황을 검토하고, 제도적 지원체계 안에서 발생하는 사각지대에 초점을 맞추고 사적 영역의 추가 서비스 이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육시설의 12시간 운영시간 내에서도 다수의 맞벌이 가구가 사적영역의 개별돌봄 서비스를 추가로 이용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설 서비스 제공 시간에 대한 구조적 개선과 개별돌봄서비스에 대한 공공성 확보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abstractAs Korea’s child care support system is centered on service provis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child care service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different household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child care services, analyzes the use of individual-level services in addition to facility-based service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25% of dual-earner households were using individual care services in addition to facility services. The tendency to use additional care services was found to be higher for mothers with jobs and higher income.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households, the less well the parents speak and write the Korean language, and the lower their income level, the more likely there were to care for their children at home. Also,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had greater demands for child care fac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tegrated child care services. As a result of the expert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individual care service was inadequate meet the demand due to the lack of supply, and the part - time child care service was not suitable for the demand because of the low accessibility and service qu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ublic provision of individual care services. Also,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for those parents who, despite their low Korean proficiency and their inability to provide their children proper language stimulation, do not use facility services. In the case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equate supply of the faciliti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are required. Last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ours of day care centers and service hours to support work-life bal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5 제1절 보육지원 정책 연구 17 제2절 수요자 특성별 자녀양육 실태 및 시간연장 보육 23 제3절 해외 사례 28 제3장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및 현황 39 제1절 보육서비스 분석 범위 41 제2절 시설 보육서비스 지원 43 제3절 가정 보육서비스 지원 57 제4절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유연성 74 제4장 보육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요구분석 81 제1절 보육서비스 이용 실태 83 제2절 돌봄취약 가구의 서비스 이용 실태 114 제3절 보육서비스 중요도·수요 부합도 분석 135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49 제1절 결론 151 제2절 정책 제언 156 참고문헌 163 부 록 169 부록 1 전문가조사 조사표 169 부록 2 보육서비스 지원 요구 분석을 위한 심층면접 사례 1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지원체계 현황과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The consumer-oriented child care service system and its policy implica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보육서비스
dc.subject.keyword장애아 보육
dc.subject.keyword다문화 보육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은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지혜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7-1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7-19
dc.subject.kihasa아동복지
dc.subject.kihasa장애인 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