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Postpartum Mental Health

제목
산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방안 연구 =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Postpartum Mental Health
저자

이소영 ; 임지영 ; 홍진표

키워드
산후 정신건강 ; 산후우울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산후정신건강에 대한 인식이 미흡함에 따라 산후우울증을 경험하면서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위기 상황에 놓인 산모가 방치되고 있다. 산후우울증은 산모에게서 발생되는 비교적 흔한 질환임에도 국내에서는 정확한 유병률조차 파악되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지원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는 산후 정신건강의 실태를 파악하고 산후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위험 요인의 완화 및 제거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하고 초저출산 문제에 대응하는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f postnatal depression using the latest data s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women suffer from postpartum depression and what the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of postpartum mental health(depression) are. This study us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2~2016),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of 2006, 2011, and 2016, and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of 2015. Additionally, interviewing mothers with infants under a year old is performed as a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17.3% of women aged 18~64 who gave a birth suffered from postpartum depression and 1.43% of women who gave a birth in 2012~2016 used postpartum mental health service. Binary logistic regression demonstrates that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postnatal depression are marital status(married), maternal employment status(employed), parity(first birth), and method of birth(vaginal birth). Significant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include low income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First, national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should be reported and monitored. Second, public policies should focus on maternal mental health by building the targeted and tailored supporting system. Finally, public policies should support maternal mental health by providing assistance in the whole proces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after childbirth.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산후 정신건강의 개념과 현황 21
제1절 산후 정신건강의 개념 23
제2절 산후 정신건강 현황 28
제3장 선행 연구 고찰 31
제1절 산후우울 측정 도구 34
제2절 산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6
제3절 산후 정신건강이 양육 및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39
제4장 산후 정신건강 관련 법률 및 지원 사업 현황 43
제1절 국내 사례 46
제2절 국외 사례 60
제5장 산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7
제1절 연구 자료 및 방법 69
제2절 연구 결과 76
제3절 소결 104
제6장 심층 면접 분석 107
제1절 연구 대상 및 방법 109
제2절 연구 결과 111
제3절 소결 149
제7장 결론 151
제1절 요약 및 함의 153
제2절 정책 제언 157
참고문헌 16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18
ISBN
9788968274701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사회서비스 > 여성복지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