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신혼부부 주거생활주기와 출산 간의 연관성 연구 = Association between Housing and Fertility among Newly Married Couples

제목
신혼부부 주거생활주기와 출산 간의 연관성 연구 = Association between Housing and Fertility among Newly Married Couples
저자

이상림 ; 이지혜

키워드
신혼부부 ; 주거생활주기 ; 출산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주거생활주기라는 개념적 틀을 가지고 우리나라 초저출산의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신혼 초) 주거 관련 요인들이 신혼부부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택 점유형태, 주택 관련 부채와 가족 지원의 신혼초기의 주거 특성이 계속적으로 출산 또는 추가 출산 계획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력들은 자녀 순위, 혼인연령, 점유형태 변화 등 혼인의 생애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녀를 낳으려는 신혼부부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주거 정책들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신혼 초 주거요인이 혼인생활 단계별로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적절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안정적 주거 마련이라는 신혼부부의 장기적 소비 과정이 출산과 경쟁관계에 놓여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The high housing cos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most critical factors of the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The effects of housing characteristics, however, have been restrictively studied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le data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effects of housing on fertility among newly married couples, who accounts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annual births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anel data from Korea Housing Survey for Newly-married couple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housing life cycl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stability presented by housing tenure type, amount of debt, and family support for housing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kelihood of having a child and the timing of childbirth. Second, however, the effects are different by marriage life stage, such as birth oder and marriage age. Third, number of migration does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r show even positive effect on the likelihood of having a child, which might mean a significant part of newly married couples give birth to baby or rear their children not at a their first plac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some housing policies to meet the demands of newly married couples who are going to have births, thereby to increase the fertility level in Korea.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주거와 출산에 대한 기존 연구 분석 12
제3절 분석 개념 설정 및 연구방법 17
제2장 정책 현황 및 해외 사례 분석 27
제1절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 29
제2절 신혼부부 및 자녀양육 세대 주거지원 정책 해외 사례 43
제3장 신혼부부 사회인구학적 특성 분석 51
제1절 신혼부부 분포 53
제2절 신혼부부 분포와 지역 출산율 63
제4장 주거생활주기 특성의 출산 결정 분석 75
제1절 기술 통계 77
제2절 분석 결과 85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5
제1절 출산지원으로서의 주거정책 방향성 107
제2절 맺음말 114
참고문헌 11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16
ISBN
9788968274688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