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구변동의 국제 동향과 중장기 인구정책 방향 = Global Demographic Trends and Future Prospects for Population Policies

제목
인구변동의 국제 동향과 중장기 인구정책 방향 = Global Demographic Trends and Future Prospects for Population Policies
저자

우해봉장인수

키워드
인구변동 ; 인구정책 ; 출산력 ; 사망력 ; 이동력 ; 인권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인구정책에서 장기적인 안목에 기초한 적기 대응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우리나라 인구정책은 단기적 시각에 기초하는 한편 사후적 대응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인구학적 변동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저출산 및 급격히 진행되는 인구 고령화 상황 속에서 향후 인구정책을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할 것인가에 관한 뚜렷한 장기 비전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제 인구변동의 동향과 특징, 인구정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인구정책 분야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주요 이슈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As much as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Korea has experienced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population policy environment is also rapidly transforming into a form of developed countries in which various agents are involved in a complex social system. In this respect, by looking at the emerging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global population fluctuations, the past and present of population policy, and emerging issues in the field of population development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population policy in Korea.
Firstly, this study examines international trends of population change and examines key cases and issues of population policy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and draws implications.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basic direction of the population policy of the country that can cope with mid - to long - term population changes in a situation where the population policy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Since the current low fertility problem is a demographic issue that has been developed for decades since the 1960s with Korea's growth-centered developmental approach, it i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to a significant extent in the short term. So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review of the population policy direction that can fundamentally mitigate the current low fertility problem in the mid- and long-term, instead of short-term prescription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critically examining the population policy up to now and establishing the basic directions for future population policy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of global population policy paradigm.
In the case of population policy, the importance of timely response based on long-term perspective needs to be emphasized. As population phenomena and interests become more complex, a consistent and ongoing approach based on political and social consensus around population policy is needed. As population phenomena and interests become more complicated, a consistent and ongoing approach based on political and social consensus around population policy is required.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adopt a democratic policy in accordance with democratic principles that respects human rights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global population policy.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0
제2장 국제 인구변동의 동향과 특징 13
제1절 인구변동의 동향 15
제2절 인구변동의 특징 27
제3장 인구정책의 기본 구조와 주요 쟁점 33
제1절 인구정책의 기본 구조 35
제2절 인구정책의 주요 쟁점 41
제4장 국제 인구정책의 역사적 전개 과정 61
제1절 세계대전 이전의 인구정책 63
제2절 세계대전 이후의 인구정책 67
제3절 인구정책의 최근 동향: MDGs & SDGs 76
제5장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인구정책: 현황과 과제 87
제1절 서론 89
제2절 개발도상국의 인구정책 90
제3절 선진국의 인구정책 101
제4절 해외 인구정책 사례 분석 115
제6장 중장기 인구정책 방향 133
제1절 한국의 인구변동과 인구정책: 진단과 평가 135
제2절 인구정책의 운영 원칙과 대응 방식 159
제3절 인구학적 대응 방향 165
제4절 사회경제적 대응 방향 197
제5절 인구정책과 생명윤리 210
참고문헌 21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13
ISBN
9788968274626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