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I) - 시범적용 및 활용방안 =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Ⅱ) : Pilot evaluation and application

제목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I) - 시범적용 및 활용방안 =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Ⅱ) : Pilot evaluation and application
저자

김남순 ; 박은자정 연 ; 손호성 ; 김대은 ; 배정은

키워드
보건의료정책 ; 정책평가 ; 본인부담정액제 ; 만성질환 관리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보건의료정책은 환자, 의료진 등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보건의료정책과 사업에 대한 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더 좋은 정책을 선별하는 것이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국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을 파악한 1차 년도 연구에 이어 시범평가를 통해 실질적인 정책평가 수행 시 예상되는 문제와 고려사항들을 분석하고 국내 정책평가의 어려운 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내외에서 제시하고 있는 보건의료정책 평가의 틀을 살펴보고 서비스 제공을 동반하지 않는 정책 평가로 ‘노인 외래 본인부담정액제’를, 서비스 제공을 포함하는 정책 평가로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을 시범평가하였다. 보건의료정책 평가가 활성화되고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질의 정책 평가 결과물이 축적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정책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Policy evaluation is to assess the value and the impact of policy.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policy evaluation and priority setting of evaluation area in Korea last year as a first study for health policy evaluation. This study is the second on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health policy evaluation on a trial basis and to explore the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health policy evaluation.
USA 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Canada Ontario Agency for Health Protection and Promotion suggest the health policy evaluation process: engagement of stakeholders, description of the program, evaluation design, gathering of evidence, justification of conclusion, use of evaluation results. Both quantitative methodology and qualitative methodology have been used for policy evaluation. Nowadays, many researchers have used semi-experimental design to analyze the impact of health policy.
As a first pilot health policy evaluation, we examined the impact of fixed copayment policy for the elderly on the use of medical services. The elderly who aged 65 or more pay 1,500 won for outpatient visit of which total expense is equal or less than 15,000 won. We analyzed the Medical expenditure panel data using RDD. The elderly who had a benefit of fixed copayment policy visited doctor’s office more frequently by about 17% than those who did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ut-of-pocket expenditure, total medical expenditure, and prescription drug expense between them.
As a second pilot health policy evaluation, we assessed the process of hypertension diabetes management program. This program provides patients with education for disease management, period calls and SMS to encourage continuous doctor visit, and reduction of medical expense and prescription drug expense for the elderly aged 65 or more. Three areas was selected among 19 areas where hypertension diabetes management program was implemented. Nineteen service providers and 6 program use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by 3 researchers. Program service providers included staffs of education center, physicians, pharmacists, and public officers. The perception of hypertension diabetes management program was generally positive. And trust and cooperation between pubic sector and private sector made the programme implemented successfully in the community. Service users and providers thought that education program helps the patients manage their disease.
Good health policy evaluation is valuable for better health policy development and efficient health resource allocation. Systematic health policy evaluation should be activated with more concerns and investment.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보건의료정책 평가 현황 15
제1절 보건의료정책 평가의 절차 프레임워크 17
제2절 보건의료정책 평가 방법론 25
제3장 보건의료정책 시범 평가(Ⅰ): 노인 외래 본인부담정액제 37
제1절 평가 대상 정책 및 평가 목적 39
제2절 평가 절차 43
제3절 평가 방법 45
제4절 평가 결과 52
제5절 고찰 74
제4장 보건의료정책 시범 평가(Ⅱ):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79
제1절 평가 대상 사업 및 평가 목적 81
제2절 평가 절차 83
제3절 평가 방법 84
제4절 평가 결과 93
제5절 고찰 115
제5장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제도와 환경 121
제1절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제도 123
제2절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 환경에 대한 전문가 인식 125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37
제1절 보건의료정책 평가의 필요성 139
제2절 보건의료정책 평가 개선방안 140
참고문헌 145
부록1. 국내 보건의료정책 평가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조사표 14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01
ISBN
9788968274428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