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 A typology of housing vulnerability based on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정민
dc.contributor.author오욱찬
dc.contributor.author이건민
dc.date.accessioned2018-03-07T17:30:05Z
dc.date.available2018-03-07T17:30:05Z
dc.date.issued2016-06-30
dc.identifier.issn1598-385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9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주거환경 부적절, 주거비 과부담, 중층적 주거취약, 그리고 비주거취약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이행확률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3~8차 자료(2008~2013년 수집)를 활용하여 중위소득 50% 미만의 상대빈곤층에 속하는 총 12,564 사례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상대빈곤층의 약 3분의 1이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주거환경에 거주하며, 주거비 과부담까지 고려할 경우 절반 가까이 주거취약층으로 분류됨을 보여주었다. 주거취약 집단의 다수는 비수급자인 빈곤층이었고, 주거환경 부적절 집단에 속하는 가구는 그 상황을 벗어날 확률이 현저히 낮았다. 점유형태와 주거위치는 최저주거기준 미달과 주거비 과부담의 주거취약 여부를 보여줄 수 있는 대리지표로, 임대아파트 거주는 주거취약의 가능성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저주거기준의 포괄적 적용과 주거취약에 대한 다면적 접근을 통해 빈곤층의 주거취약 실태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최근의 주거지원정책 변화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dc.format.extent2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사회복지연구회
dc.title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dc.title.alternativeA typology of housing vulnerability based on housing quality and affordabili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주거취약
dc.subject.keyword최저주거기준
dc.subject.keyword주거비 과부담
dc.subject.keyword유형화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욱찬
dc.identifier.doi10.16999/kasws.2015.46.2.101
dc.identifier.urlhttps://doi.org/10.16999/kasws.2015.46.2.101
dc.identifier.localIdKIHASA-786
dc.citation.title사회복지연구
dc.citation.volume4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16
dc.citation.startPage101
dc.citation.endPage12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사회복지연구, vol. 46, no. 2, pp. 101 - 12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