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연생모형을 이용한 역모기지의 분석 = An Analysis of a Reverse Mortgage using a Multiple Life Model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백혜연
dc.contributor.author이선주
dc.contributor.author이항석
dc.date.accessioned2018-03-05T17:30:02Z
dc.date.available2018-03-05T17:30:02Z
dc.date.issued2013-06-30
dc.identifier.issn1225-066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969
dc.description.abstract연생모형(multiple life model)은 보험계약에서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피보험자들의 사망 또는 생존의 상태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 상품의 보험료 결정 및 리스크 관리를 위한 모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부 가입자 중 마지막 사망자가 발생할 때까지 연금이 지급되는 연생보험의 대표적인 상품인 역모기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역모기지 상 품은 만 60세 이상의 고령자가 소유주택을 담보로 거주하면서 일정액을 대출받지만 대출금을 다시 상환하지 않는 금융상품으로 부부 가입의 경우 대출 기간의 확률분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생모형을 적용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행 역모기지 상품에 있어서 대출한도 및 월지급금 산출 시 연생모형이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국민생명표 상의 여자 사망률을 대출 종료(연금지급종료)확률로 활용하고 있다. 여자의 사망률을 이용하는 이유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대출 종료 시점을 예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더 수명이 길다는 점 때문이다. 고령화로 인해 수명이 점점 길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역모기지와 같이 계약기간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보험 상품의 경우 특히 더 계약 종료 시점에 대한 확률분포가 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중요하다. 본 논문의 의의는 역모기지의 발행기관 및 보증기관의 적정한 월지급금 지급과 차후 월지급금의 과대지급으로 인한 지급불능을 방지하기 위해 현행 사용하고 있는 모형의 위험률에서 연생 모형으로 변경할 필요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제시한다.
dc.format.extent17
dc.languagekor
dc.publisher응용통계학회
dc.title연생모형을 이용한 역모기지의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a Reverse Mortgage using a Multiple Life Model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subject.keyword역모기지
dc.subject.keyword연생모형
dc.subject.keyword최종생존자
dc.subject.keyword대출종료확률
dc.subject.keyword평균여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백혜연
dc.identifier.url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1320360167930
dc.identifier.localIdKIHASA-761
dc.citation.title응용통계연구
dc.citation.volume26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13
dc.citation.startPage531
dc.citation.endPage54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응용통계연구, vol. 26, no. 3, pp. 531 - 547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