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근거 생산과 정책 개발 =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Health Policy Response to Climate Change

제목
보건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근거 생산과 정책 개발 =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Health Policy Response to Climate Change
저자

채수미 ; 김대은 ; 오수진 ; 김동진 ; 우경숙

키워드
기후변화 적응 ; 기후변화 건강영향 ; 정책 과정 ; 국민 인식
발행연도
20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전 세계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받고 있고, 이에 맞추어 기후변화 대응도 점차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는 피할 수 없는 중대한 사회적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보건 분야의 거버넌스와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과정 단계별 국내 근거를 분석하여, 향후 과학적 근거 개발을 위해 개선해야 할 부분을 도출하였다. 정책 수요자 측면에서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에 대한 수요를 평가하였으며, 정책 제공자 측면에서는 기후변화 정책과 사업의 제공 실태를 파악하여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가의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Climate change affects health through various pathways, 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ealth is a considerable social burden in Korea. However, climate change adaptation has not been addressed as a major policy priority.
Conducted to develop evidence-based health policy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reviewed existing scientific evidence concerning adaptation to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different stages of policy process. A meta-analysis, systematic review and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Much of existing literature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concerned agenda-setting stage, but the issues that need to be improved to build future scientific evidence were confirmed.
Second, we surveyed public perception of climate change and related health issues as a way to better understand the need for policy response to climate chang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to ensure that the perception the public has of climate change and related health issues is evidence-based and objective.
Finally, we examined the status of policy interventions concerning climate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providers. The final suggestion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explore the core areas based on the rationale and demand, and the policy process should be systematically organized.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보건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과정 단계별 근거 분석 21
제1절 분석 개요 23
제2절 정책의제 형성 단계의 근거 분석 28
제3절 정책 형성·집행·평가 단계의 근거 분석 123
제3장 기후변화와 건강에 대한 국민 인식 129
제1절 기후변화와 건강에 대한 선행연구 131
제2절 조사 내용 및 방법 138
제3절 조사 결과 143
제4장 보건 분야 기후변화대응 정책 현황 169
제1절 국제사회의 보건 분야 기후변화 대응 동향 171
제2절 우리나라 기후변화 적응 체계 212
제5장 결 론 235
제1절 보건 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근거 개발 전략 237
제2절 국민의 인식과 국가의 역할 244
제3절 보건 분야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방향 248
참고문헌 255
부 록 279
부록 1. 기후변화와 건강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표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7-05
ISBN
978896827446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보건의료 > 건강친화적 환경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