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가중치 적용 방법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Cohesion: Based on Comparison of Weighting Methodolog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구혜란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date.accessioned2018-01-13T04:35:42Z
dc.date.available2018-01-13T04:35:42Z
dc.date.issued2017-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47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의 사회통합 수준 진단 목적으로 사회통합 지수를 개발하고, 이에 더하여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 지수를 비교함으로써 사회통합 수준 측정에서 가중치 적용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를 활용하여 4개의 사회통합 하위 영역을 설정하고 각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19개의 지표를 선정한 후, 영역별 지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회통합 지수를 산출하였다. 2015년 기준 사회통합 지수를 살펴보면, 서베이 가중치 방식에서는 한국은 30개국 중 29위, 동일가중치 방식에서는 28위, 수리적 가중치 방식에서는 24위를 보였다. 이러한 사회통합 지수의 차이는 우리나라가 낮은 발전 수준을 보이는 사회적 포용 영역에 적용되는 높은 서베이 가중치의 영향, 그리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이는 노동소득분배율 및 교육성취도에 적용되는 높은 수리적 가중치의 영향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주관성의 측면을 강조한 지수 구성의 의미와 당면한 사회현실을 반영한 지표 체계 구성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ocial cohesion index by adopting different weighting method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in Korea in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from various angl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d social cohesion in terms of four sub-dimensions and 19 indicators by using the Delphi method. We also adopted three different weights of dimensions and indicators: equal weight, statistical weight and survey-based weight. Measured against the social cohesion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Korea is ranked 28th with equal weighting, 24th with statistical weighting, and 29th with survey-based weighting among a total of 30 OECD countries in 2015. Higher survey-based weight of social inclusion and higher statistical weight of labour share and education attainment cause the differences across the weighting methods. This result implies needs for composite index reflecting subjectivity and for constructing an indicator set reflecting social circumstances in our time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사회통합 수준 측정에 관한 연구: 가중치 적용 방법론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Cohesion: Based on Comparison of Weighting Methodolog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사회통합지수
dc.subject.keyword국제비교
dc.subject.keyword동일가중치
dc.subject.keyword통계적 가중치
dc.subject.keyword서베이 가중치
dc.subject.keywordSocial Cohesion Index
dc.subject.keywordInternational Comparison
dc.subject.keywordEqual Weight
dc.subject.keywordStatistical Weight
dc.subject.keywordSurvey-Based Weigh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해식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70
dc.citation.endPage40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4호, pp.370-40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4, pp.370-405
dc.date.dateaccepted2018-01-13T04:35:42Z
dc.date.datesubmitted2018-01-13T04:35:42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