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자살 위험의 지역적 격차와 그 시공간적 고착 구조에 관한 연구 = The Regional Gap of Suicide Risk and the Spatio-Temporally Persistence Structures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노법래
dc.date.accessioned2018-01-13T02:29:40Z
dc.date.available2018-01-13T02:29:40Z
dc.date.issued2017-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47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한국 지역 간 자살률의 변화를 비교하는 것이다. 특히, 연령별 자살 위험 수준이 시공간적(spatio-temporal)차원에서 고착화된 패턴이 있는지 드러내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적인 목표이다. 자살 발생이 지역 수준에서 시공간적으로 고착화되어 있다면 한국 사회의 비정상적인 자살 발생을 가져오는 환경적 힘이 사회 전반적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적 수준에서 차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자살 위험의 시공간적 고착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자살 발생의 공간적 집적성과 연령 자살 발생 위험의 종단적인 결합궤적의 지역 분포라는 두 가지 차원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공간자기상관 수준의 시기적 변화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후자와 관련해서는 연령별 자살률의 결합궤적(joint trajectories) 유형 분석과 매핑 그리고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결과를 검토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지역 간 자살 위험은 조사 기간에 걸쳐 고정된 서열 구조가 유지되는 불균등 구조를 보였으며, 자살 위험의 분포가 지역 특성과 행정 구역을 중심으로 고착된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hanges in suicide rates among Korean regions since the late 1990s. Especially,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re is a persistent pattern of suicidal risk level at the spatio-temporal level. If the occurrence of suicide is temporally and spatially fixed at the local level, we can find the evidence that the environmental forces that lead to the abnormal suicide in Korean society are differentiated not only at the social level but also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examine such patterns, this study empirically tes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icide incidence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longitudinal combination trajectories of age-related suicide risk. First, we examine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level of suicide rates among age groups longitudinally. Second, we conducted trajectory clustering analysis to classify the types of age-related suicidal risk structures, mapp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rajectory type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the regional risks of suicide in Korea have maintained the fixed sequence structure throughout the research period and that the distribution of suicide risk was fixed a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At the conclusion, some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by discussing the result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한국 자살 위험의 지역적 격차와 그 시공간적 고착 구조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Regional Gap of Suicide Risk and the Spatio-Temporally Persistence Structures in South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자살
dc.subject.keyword시공간 분석
dc.subject.keyword공간집적
dc.subject.keyword궤적 유형화
dc.subject.keywordSuicide
dc.subject.keywordSpatio-Temporal Analysis
dc.subject.keywordSpatial Clustering
dc.subject.keywordTrajectory Clustering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13
dc.citation.endPage23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4호, pp.213-23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4, pp.213-237
dc.date.dateaccepted2018-01-13T02:29:40Z
dc.date.datesubmitted2018-01-13T02:29:40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