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recarious Health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배그린
dc.contributor.author문정화
dc.contributor.author강민아
dc.date.accessioned2018-01-13T02:00:14Z
dc.date.available2018-01-13T02:00:14Z
dc.date.issued2017-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8468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은 전 세계에 유례없는 건강보험제도의 성공과 선진 의료기술을 갖췄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자신의 건강상태를 나쁘다고 생각하며, 건강보험제도를 신뢰하지 못해 추가 비용을 지불해 민간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이 연구는 건강영역에서 나타나는 국민의 불만족과 불안, 제도의 실효성 부족 현상을 총체적으로 건강 불안정성(precariousness)으로 일컫고 그 원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총 8그룹의 참여자들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참여자들의 건강불안정성 인식은 첫째, 자신과 가족의 미래 건강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불확실성에 기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선택할 때 필요한 건강정보, 경제적 혹은 시간적 자원, 그리고 통제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했으며, 국민건강보험제도나 신의료기술의 발달이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위한 충분한 보호와 보장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여 본인의 건강관련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경제활동 손실까지 보장하는 질병수당의 지급 등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보편적 건강보장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Health is one of the main areas in precarious life. Focus Group Interview (FGI)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precariousness in the health. FGI show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factors that cause precariousness in health. First, health is unpredictable and uncertain due to unclear external influences such as heredity, aging, environment which cause precariousness. Second, the perception of disempowerment dealing with health cause precariousness in health. Participants said they cannot control their health because of insufficient reliable health information and working conditions. Also, they said even if they try to effort for health, anybody can get sick. Finally, despite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ystem, people felt their health was precarious due to lack of health security such as several new services remain outside the coverage. In addition, because of economic hardship due to illness and loss of employment, health has precariousness in South Korea. This is fictional stability of health care system in South Korea. We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reliable health information to improve empowerment related to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general people in health. An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NHI system which include not only treatment but also loss of income can be considered as a policy to help lower the precariousness in Korean health.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한국인의 건강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Precarious Health in South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건강불안정성
dc.subject.keyword건강보험 보장성
dc.subject.keyword통제권한의 부재
dc.subject.keyword불확실성
dc.subject.keyword초점집단면접
dc.subject.keywordPrecarious Health
dc.subject.keywordFictional Stability
dc.subject.keywordUncertainty
dc.subject.keywordDisempowerment
dc.subject.keywordInsecurity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46
dc.citation.endPage1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4호, pp.146-1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7 No.4, pp.146-178
dc.date.dateaccepted2018-01-13T02:00:14Z
dc.date.datesubmitted2018-01-13T02:00:14Z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