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복지 이용시설 서비스 종합화 방안

제목
사회복지 이용시설 서비스 종합화 방안
저자

변용찬 ; 한혜경 ; 이상영 ; 조애저 ; 김희선

발행연도
199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연구목적

-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은 기존의 수용보호 중심에서 점차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복지 증진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 복지관 등 사회복지 이용시설이 노인, 장애인, 여성 등 이용대상자별로 분화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내에서 종합적인 복지센터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음.

- 따라서 사회복지 이용시설의 물리적 확충과 함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이용시설의 운영방식을 종합화할 필요가 있음.

■연구결과

- 물리적 종합화 방안

- 향후 신설되는 복지관은 지역종합복지센터(가칭)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센터에는 보육시설, 재가복지봉사센터, 의료기능, 생활복지 기능 등이 포함된 종합화된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함.

- 지역종합복지센터의 사업직제를 가족복지팀, 재가복지팀, 의료복지팀, 생활복지팀 등 기능별로 4개의 팀 단위로 직제를 개편하되,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함. 각 팀별로 선임사회복지사 1명과 사회복지사 1∼4명을 두되, 팀내에는 사업별 담당제도를 둠.

- 지역종합복지센터 운영지침서를 개발하고, 정부지원부서의 연계를 통하여 정부부처별로 차이가 나는 각종 지침내용을 조정함.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지역복지계획을 의무적으로 수립하게 하고 보건복지부는 이를 평가하여 보조금 지급시 반영함.

- 현재의 사회복지관 규모에 따른 획일적인 지원방법에서 개별 지역종합복지센터의 평가 결과에 의한 방법으로 재정지원방식을 변경함. 특정사업에 대해서는 프로그램별 지원방식을 확충해 나가며, 인건비의 전액지원 등 정부지원 내용을 개선해야 함. 저소득층 이용실태에 따른 사후 보상제도를 도입하고, 지역종합복지센터의 정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차등지원함.

- 기능적 종합화 방안


- 시 군 구단위에 자문기관의 지위를 가진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상자 공동파악 및 관리, 연계프로그램 개발 및 기관.시설간의 역할 분담, 지역복지계획의 공동수립, 민간자원의 개발 등에 활용함. 협의체 운영에 소요되는 재원은 지방비 예산에서 지원함.

- 상담기능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지역별 상담시설 확충 및 접근성을 제고해야 하고, 상담인력에 대한 교육을 확대 실시함. 상담기관간 전산망 설치 및 정보교환체계를 구축해야 함. 수집 정보내용에 대한 표준화가 우선 이루어져야 함.

- 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단위별로 각종 복지 정보를 정리한 '복지지도' (Welfare Map)를 개발하고, '지역복지정보시스템' (Regional Welfare Information System)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함.
목차
第1章 序 論

第2章 綜合化의 槪念 및 主要 分析內容
第1節 利用施設의 槪念 및 範圍
第2節 綜合化의 槪念
第3節 主要 分析內容

第3章 福祉需要의 變化와 示唆点
第1節 福祉需要의 變化
第2節 示唆點

第4章 社會福祉 利用施設의 綜合化 現況과 問題點
第1節 社會福祉 利用施設의 機能 및 役割
第2節 社會福祉 利用施設의 分布
第3節 物理的 綜合化의 現況
第4節 機能的 綜合化의 現況
第5節 綜合化를 위한 示唆點

第5章 先進國의 綜合化 經驗과 示唆點
第1節 美國의 綜合化 經驗과 示唆點
第2節 英國의 綜合化 經驗과 示唆點
第3節 日本의 綜合化 經驗과 示唆點
第4節 日本의 公共福祉機關의 綜合化 經驗과 示唆點

第6章 物理的 綜合化 方案
第1節 基本前提
第2節 社會福祉 利用施設의 綜合化 模型
第3節 綜合化 推進 方案

第7章 機能的 綜合化 方案
第1節 基本前提
第2節 協議體의 構成.運營
第3節 相談機能 活性化
第4節 情報體系의 構築

第8章 結 論

參考文獻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1996-18
ISBN
89-8187-090-X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