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제목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 연구 =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저자

이윤경

키워드
노인 ; 이미지 ; 비노인층의 노인 이미지 ; 노후 가치관 ; views on the elderly ; dimensions of images of the elderly ; age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발행연도
2007-06-30
발행기관
한국인구학회
인용정보
한국인구학, vol. 30, no. 2, pp. 1 - 22
초록
본 연구는 20대 이상 65세 미만 비노인층이 갖는 노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 이미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가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64세의 7,76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의 건강, 정서, 지적능력과 경제력에 대한 이미지를 부정적 이미지와 긍정적 이미지로 양분하여 로짓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노인층은 노인의 건강과 정서, 지적능력과 경제력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보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은 4가지 영역 중 노인의 건강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는 반면, 중장년층은 경제력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이미지 영역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연령, 노인과의 동거여부, 노후에 대한 가치관, 거주지역 변수가 노인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과 거주하는 사람이 그리고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노인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또한 자녀와의 관계에서 정서적인 밀접성을 중요시하는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노인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노인 이미지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it considers various dimensions of the images including health, personality, intelligence, and economic ability. The study also attempt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images by age groups of non-elderly as well as the dimensions above. The data come from a nationwide survey on the Korean Elderly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04. Analysis of the samples aged 20-64 reveals that the overall image of the elderly are negative across four dimensions. Nonetheless, differences by dimensions are also observed. Young people in their 20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negative views on elderly's health. In the meanwhile, the middle aged a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views on elderly's economic ability. Multivariate analysis based on logit regression model shows that the images of the elderly are affected by age, place of residence, co-residence with older persons, attitude toward life in old ag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ntain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lderly's images in rapidly aging society.
Fulltext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735836643727&SITE=CLICK
ISSN
1226-2986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