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신약의 가격지불에서 위험분담계약의 동향과 고찰 = Risk-Sharing Agreement on the Pricing and Reimbursement of New Drug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실비아
dc.date.accessioned2017-01-25T04:12:16Z
dc.date.available2017-01-25T04:12:16Z
dc.date.issued2010-06-30
dc.identifier.issn1738-73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5221
dc.description.abstract보건의료에서 약제비 지출이 빠르게 상승하고 최근 도입되는 신약들이 고가화되면서 보험급여 및 약가 결정 시점에서 의사결정에 따른 재정적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 신약의 급여 및 약가결정의 위험을 보험자와 제약회사 간에 분담하여 지불계약을 하는 위험분담계약이 증가하고 있다. 위험분담계약은 신약을 실제 진료상황에서 사용하여 나타난 치료효과를 평가하여 급여 및 약가의 결정에 연계하는 방식으로서, `성과에 연계한 지불`과 `조건부 지속 치료`, `근거생산 조건부 급여` 등의 유형이 있다. 위험분담계약은 우수한 치료효과의 가능성이 있으나 근거가 불확실한 신약의 급여를 성과에 연계하여 의사결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시행과정이 복잡하고 적지 않은 사회적 비용과 자원이 요구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제도시행의 경험이 풍부하지 않으며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평가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위험분담계약은 신약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도가 되기는 어려우며, 시판 후 효과성 및 비용효과성에 관한 근거를 생산할 필요가 있으며 보험재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 일부 신약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a new coverage and reimbursement schemes for new drugs, which involve the concept "pay-for-performance" and "risk-sharing". Faced with challenges from new drugs with promising effectiveness but with insufficient evidence and pressure on health care budget, third-party payers in developed countries have tried the new evidence-based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system which is called risk-sharing agreement. Under the risk-sharing agreement, drug companies agree to refund the cost if a drug fails to meet agreed performance targets when used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This study introduces three types of the scheme: performance-linked reimbursement; conditional treatment continuation; coverage with evidence development. Risk-sharing agreement has the potential to reduce risk in health care decisions in times of new health technology and to ensure predictable health gains for a given drug expenditures. However until now it has not gained wide-spread acceptance because of its feasibility issues. Moreover it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yet. Risk-sharing agreement should thus be considered only for a few innovative drugs treating life-threatening diseases, for very specific target populations as an option to deal with insufficient evidence and to ensure access to essential medicines.
dc.format.extent2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dc.title신약의 가격지불에서 위험분담계약의 동향과 고찰
dc.title.alternativeRisk-Sharing Agreement on the Pricing and Reimbursement of New Drug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identifier.apprname학술논문평가
dc.subject.keyword신약
dc.subject.keyword보험 급여
dc.subject.keyword약가
dc.subject.keyword위험분담
dc.subject.keyword근거
dc.subject.keyword의사결정
dc.subject.keywordnew drugs
dc.subject.keywordpricing
dc.subject.keywordreimbursement
dc.subject.keywordrisk-sharing
dc.subject.keywordevidence
dc.subject.keyworddecision-maki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실비아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79037
dc.citation.title보건경제와 정책연구
dc.citation.volume1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25
dc.citation.endPage15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 16, no. 2, pp. 125 - 15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