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아동양육참여: 재혼 및 동거를 통한 새로운 파트너와 아버지의 가구내 거주하는 아동의 영향 = Nonresident Fathers Contact with Children in U.S.: Fathers’ Re-Partnering and The Presence and Types of Children in Their New Households

제목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아동양육참여: 재혼 및 동거를 통한 새로운 파트너와 아버지의 가구내 거주하는 아동의 영향 = Nonresident Fathers Contact with Children in U.S.: Fathers’ Re-Partnering and The Presence and Types of Children in Their New Households
저자

정은희

키워드
fatherhood ; re-partnering ; remarriage ; nonresident ; fathers ; non-marital birth ; 아버지의 양육참여 ; 재혼 ; 비거주 아버지 ; 미혼 출산
발행연도
2012-03-31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인용정보
사회복지정책, vol. 39, no. 1, pp. 55 - 84
초록
미국은 이혼이나 미혼출산의 영향으로 아버지와 살고 있지 않은 아동의 수가 증가하여 왔다. 이혼과 미혼출산으로 인한 아버지의 부재는 아동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비거주 아버지의 원가족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부재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능력과 아동부양비와 같은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양육참여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비거주 아버지의 새로운 파트너를 통해 형성된 아버지의 새로운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미국의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파트너 존재 유무에 따라 다른가? 다르다면, 파트너와 데이트 상태인지, 동거상태인지, 결혼한 상태인지에 따라서도 다른가? 2)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현재 살고 있는 아버지의 가구에 함께 거주하고 있는 아동이 있는지에 따라 다른가? 다르다면, 현재 살고 있는 아동이 현재 파트너의 친자인지 예전 파트너의 친자인지, 의붓자녀인지에 따라 다른가? Fixed effects 모델을 사용하여 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와 함께 살지 않는 비거주 아버지는 현재 파트너가 있는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현재 파트너가 없을 때 지난 한달 동안 자신의 자녀와 더 자주 만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은 단순히 지난 이년 동안 만나는 경험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했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와 원 가족의 자녀간 만남을 질적인 측면에서(예를 들어 놀아주기, 책읽어 주기 등) 양육참여 수준을 조사했을 경우에도 아버지의 파트너 상태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되었다. 본 연구에서 아버지의 가구에 함께 거주하고 있는 아동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가 있다. 미혼출산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아버지의 가족구조가 재혼과 동거 등으로 인해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가족의 출현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비거주 아버지의 원가족 아동양육 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온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거주 아버지의 아동양육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은 가능한 아버지가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기 전에 추진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우선 일차적으로 원가족이 헤어지지 않고 함께 살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정적으로 원가족을 부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혼출산부부의 결혼장려정책과 같은 방안들이 지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재혼이나 새롭게 동거가족을 형성한 경우에는 비거주 아버지로 하여금 원가족의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를 도울 수 있도록 현재 새롭게 구성한 가족의 존재를 인지하고, 아버지와 현재 파트너와 원가족의 아동에 대한 양육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도입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s a large and growing number of children in the U.S. live in a household that does not include their biological father, reducing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a father`s absence on children`s well-be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Using data from the Fragile Families and Child Wellbeing Study, this paper examin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ether nonresident fathers` involvement with children differs by whether a father is 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partner other than nonresident child(ren)`s mother (versus being single) and, if so, by the type of relationship he is in (a marriage, a cohabitation, or a dating relationship), and (2) whether nonresident fathers` involvement with children differs by whether a father`s current household includes any children (versus no children) and, if so, whether these children are biological or step. Results from fixed effects regressions indicated that fathers saw their nonresident children a great number of days during the past month if they remained single than if they were involved in any type of romantic relationship. The finding was consistent with the study hypothesis that, compared to single fathers, re-partnered fathers would be less involved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father relationship status in whether father had contact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during the past two years, nor in the number of days fathers engaged in activities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during the past month, for those who had seen the children more than once in that month. This study also found no associations of the presence of children in fathers` current households with any of the measures of fathers` involvement with their nonresident children.
Fulltext
https://doi.org/10.15855/swp.2012.39.1.55
ISSN
1598-7663
DOI
10.15855/swp.2012.39.1.55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