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영아사망수준과 원인에 관한 연구

제목
영아사망수준과 원인에 관한 연구
저자

한영자 ; 도세록 ; 이승욱 ; 이하백 ; 이명익

발행연도
199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연구 목적

- 의료보험자료를 근간으로 영아사망률 생산 및 영아사망원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조사방법 개발과 통계 생산체계 확립 위한 대안을 제시함.

■연구방법

- 기존자료조사: 영아사망 정보를 포함한 기존자료 확보

- 의료기관조사: 전국의 영아사망 발생 의료기관에 대한 사망아 조사 실시. 특히 인구동태자료의 누락을 보완할 수 있는 출생초기 사망을 색출. 의료보험자료로 부터 출생 미확인 분만급여자에 대한 의료기관 추적조사 및 비보험 분만에 대한 조사 실시

■연구결과

- 새로운 조사방법을 적용하여 산출한 1993년도 출생코호트의 영아사망수는 7,088명, 출생아수는 715,817명으로 추정됨.

- 1993년도 출생코호트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천명당 9.9명, 신생아사망률 6.6명, 신생아 후기사망률은 3.3명으로 추정됨.

- 영아사망률 성비는 114.1명으로 나타남.

- 신생아사망은 영아사망의 66.2%를 차지함.

- 의료기관조사자료는 총영아사망의 73.3% 만을 포함. 그러나 신생아 사망은 총 신생아사망의 90.2%를 포함하고 있음. 주민등록자료는 총영아사망의 29%만을 포함. 신생아 후기사망에 있어서는 총 신생아후기 사망의 79.8%를 포함하고 있어 생존기간별로 자료의 대표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남.

- 영아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 광주지역으로 출생아 천명당 12.5명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전북 8.7명, 수도권 8.8명임.

- 영아사망에서 사망원인별 분포를 보면 주산기 관련질환이 81.6%이며 그 다음으로 선천이상이 15.4%를 차지함.

- 본 조사자료로 영아생명표를 작성하였으며 향후 영아사망추정에 기초가 될 것임.

- 모년령별 영아사망률은 20∼24세 연령층이 영아사망률이 가장 낮아 7.2로 나타났으며 35∼39세는 17.9, 40세 이상은 34.8로 나타남.

- 의료보험 급여청구시 출생 관련 코드와 컬럼부여, 사망시 질병분류 코드 이외에 사망 등에 코드(숫자)를 부여한다면 출생 및 사망 통계생산이 용이해질 것으로 사료됨.
목차
第1章 序 論
第1節 硏究의 背景 및 必要性
第2節 硏究 目的
第3節 硏究內容 및 方法
第4節 各國의 嬰兒死亡資料 生産 및 硏究動向

第2章 旣存資料의 蒐集과 分析
第1節 旣存資料 蒐集過程
第2節 嬰兒死亡 旣存資料의 種類 및 特性
第3節 醫療保險資料에서의 出生과 死亡確認

第3章 嬰兒死亡 調査(醫療機關 調査)
第1節 分娩確認調査
第2節 死亡嬰兒 調査
第3節 調査票 種類 및 調査管理
第4節 醫療機關 調査結果
第5節 醫療機關 種類別 出生兒 分布

第4章 嬰兒死亡數 및 出生兒數 推定
第1節 嬰兒死亡數 推定
第2節 出生兒數 推定

第5章 嬰兒死亡 分析
第1節 嬰兒死亡率 推定
第2節 人口 社會的 特性別 嬰兒死亡
第3節 死産 分析
第4節 分娩確認過程에서 發見한 嬰兒死亡 分析

第6章 死亡原因 分析
第1節 死因 有無別 死亡嬰兒 分布
第2節 兒死亡 原因 分析
第3節 疾患群別 生存期間別 嬰兒死亡 分布
第4節 周産期 死亡原因
第5節 先天性 畸型

第7章 兒生命表
第1節 國內의 嬰兒生命表 現況
第2節 嬰兒期 生命表의 作成
第3節 嬰兒死亡率의 算出에 따른 期待餘命의 變化

第8章 嬰兒死亡統計 生産體系 檢討 및 改善方案
第1節 資料源別 嬰兒死亡 現況
第2節 嬰兒死亡率 生産體系 및 問題點
第3節 嬰兒死亡率 生産을 위한 制度改善

第9章 結論 및 政策提言

參考文獻

附錄 1. 韓國標準疾病分類, 死亡製表用 分類表
附錄 2. 出生.死亡申告와 關聯된 諸 法規
附錄 3. 出生死亡關聯 報告 및 申告書式
附錄 4. 調査票 作成 要領
附錄 5. 調査票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1996-26
ISBN
89-8187-102-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