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고난의 행군기 이후의 북한 내 인구이동: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 = Domestic Migration in North Korea since the Economic Hardship in the 1990s: Rural-Urban Migra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date.accessioned2017-01-25T04:10:23Z
dc.date.available2017-01-25T04:10:23Z
dc.date.issued2013-11-30
dc.identifier.issn1225-747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5085
dc.description.abstract인구이동은 한 사회의 발전 과정과 사회경제적 변화를 반영한다. 북한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는 신뢰성 있는 자료의 부족과 관련 학제 간 연구 성과 교류의 부족으로 더디게 이뤄져왔다. 이 연구는 1993년과 2008년 북한 인구센서스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 내의 인구이동 경향을 살펴본다. 북한은 지역자립체제 등 도시와 농촌의 공동발전전략을 구사하면서 도시 발전과 종주 도시의 출현을 억제하여 왔지만, 한편으로는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도시의 발전을 꾀하여 왔다. 이는 도시의 경제발전 기능과 및 농촌의 체제안정 기능 사이에 놓인 북한의 딜레마를 잘 보여준다. 북한에서는 1990년대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대규모 인구이동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식량 및 경제 위기가 일정 정도 안정화된 2000년대 초반부터는 미미한 수준이지만 다시 도시로의 이동이 증가하여 농촌-도시 간 인구이동의 방향이 역전되어졌다. 이는 북한이 인구이동이 매우 낮은 정체된 사회라는 기존의 인식을 넘어, 북한 당국이 체제의 위기에 따라 주민의 재배치와 같은 인구이동 관리 정책을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migration patterns in North Korea, examining urban development policy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migration and conducting demographic analysis on the migration pattern with particular focus on migr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s study shows mega-cities development has been controlled by the development principle of ‘regional self-reliance system.’ North Korea, however, has allowed growth in urban cities and urban population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Regarding migration patterns, the results present the urban to rural migration pattern in the economic hardship period in the late 1990s. But, the migration pattern was reversed into the rural to urban migration, showing migration concentration to Pyongyang area in the economic revival period in the early 2000s. This study presents North Korea has been in dilemma between regime stability functions of rural area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urban growth. And, it demonstrates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migration management policy as a national strateg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도입 Ⅱ. 북한의 도시 발달 Ⅲ. 북한의 고난기 행군기 인구이동 분석 Ⅳ. 최근 5년(2003~2008)간의 인구이동 Ⅴ. 맺음말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평화문제연구소
dc.title고난의 행군기 이후의 북한 내 인구이동: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
dc.title.alternativeDomestic Migration in North Korea since the Economic Hardship in the 1990s: Rural-Urban Migration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identifier.apprname학술논문평가
dc.subject.keywordRegional Self-reliance System
dc.subject.keywordDomestic migration in North Korea
dc.subject.keyword생잔율 분석
dc.subject.keyword북한 식량난
dc.subject.keywordUrban-rural Migration
dc.subject.keyword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dc.subject.keywordSurvival Rate Analysis
dc.subject.keyword자립적 지역체제
dc.subject.keyword북한 인구이동
dc.subject.keyword도시농촌 이동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21753
dc.citation.title통일문제연구
dc.citation.volume2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9
dc.citation.endPage6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통일문제연구, vol. 25, no. 2, pp. 29 - 6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