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2009-2013년 건강보험 약품비 변화요인 분석 = Decompos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2009~2013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대중
dc.contributor.author박실비아
dc.date.accessioned2017-01-25T04:08:42Z
dc.date.available2017-01-25T04:08:42Z
dc.date.issued2015-06-30
dc.identifier.issn1738-730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4961
dc.description.abstract2009~2013년 동안 약품비는 10.8% 증가하였다. 동 기간은 시장형 실거래가 상황제도, 일괄약가인하 등 약가 관련 다양한 정책들이 시도되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컸던 시기이다. 그 결과 약품비는 2009년 이후 증가하다 2012년 한차례 감소하였으며 2013년 다시 반등하는 과정을 겪었다. 본 연구는 약품비 변화요인을 가격 요인, 사용량 요인, Drug Mix 요인으로 설명해온 기존의 분석모형을 발전시켜, 약품의 특성에 따라 진입약, 퇴출약, 기존약 및 단독제품, 복수제품 등으로 약품을 세분화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2009년과 2013년 두 시점 간 약품비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을 분해한 결과, 2009~2013년 약품비는 약품비 감소에 기여한 요인(기존약의 가격 변동으로 인한 감소 20.5%, 퇴출약으로 인한 감소 4.4%)과 약품비 증가에 기여한 요인(신규 진입약으로 인한 증가 18.9%, 기존약의 구성 변화로 인한 증가 10.2%, 기존약의 처방 당 약 개수 증가로 인한 증가 5.7%, 처방건수 증가로 인한 증가 4.4% 등)에 따라 최종적으로 10.8%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 기간 동안 기존약의 가격인하로 약품비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기존약에서 고가약으로의 처방 전환 또는 신규 전입약으로의 처방 전환이 약품비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총약품비의 증가에 기여한 ATC 계열은 항종양제 및 면역조절제(L), 신경계용 의약품(N), 심혈관계용 의약품(C)의 순이었다. 가격 효과로 인한 약품비 감소가 가장 큰 계열은 감각기관(S) 25.0%, 비뇨생식기계 및 성호르몬(G) 24.1% 등이었다.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dc.title2009-2013년 건강보험 약품비 변화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Decompos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2009~2013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identifier.apprname학술논문평가
dc.subject.keyword약품비
dc.subject.keyword변화요인
dc.subject.keyword가격
dc.subject.keyword사용량
dc.subject.keyword의약품믹스
dc.subject.keywordpharmaceutical expenditure
dc.subject.keywordprice
dc.subject.keywordvolume
dc.subject.keyworddrug mix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대중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실비아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11315
dc.citation.title보건경제와 정책연구
dc.citation.volume21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49
dc.citation.endPage6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 21, no. 2, pp. 49 - 6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