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 연계망 크기, 접촉 빈도, 친밀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Network Type among Korean Older Persons: Focusing on Network Size, Frequencies of Contact, and Closenes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경희
dc.contributor.author강은나
dc.date.accessioned2017-01-25T04:07:52Z
dc.date.available2017-01-25T04:07:52Z
dc.date.issued2016-08-31
dc.identifier.issn1225-135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490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자체를 좀 더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65세 이상 10,279명)를 활용하여 관계망 크기, 연계와의 접촉 빈도, 연계에 대한 친밀도를 중심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은 고립형(11.6%), 가족의례형(17.7%), 가족친밀형(23.6%), 제한적 다층친밀형(28.4%), 다층형(18.8%)의 다섯 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잠재집단 유형별 특징을 비교하였고, 사회적 관계망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고립형 노인의 3/4은 여성이며 독거가구 비율이 약 절반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평균연령이 높고,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신체적 제한이 있는 노인, 사회적 지위가 낮은직종에 종사한 노인이 고립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층형의 경우 여성보다는 남성노인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 관리 사무직에 종사한 노인일수록 다층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가족의례형과 가족친밀형은 배우자 혹은 자녀를 중심으로 연계망이 형성되어 있고, 노인부부가구의 비중이 높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가족의례형은 상대적으로 여성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제한적 다층친밀형은 배우자보다는 자녀와 친구 이웃과의 연계망의 크기, 빈도, 친밀도가 다층형 다음으로 높은 집단으로 여성노인 및 저학력이면서 농림어업에 종사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년기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의 다양성이 갖는 학술적 및 정책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10,279 persons aged 65 or above) to understand social networks among older Koreans. In order to classify the types of social relationship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such structur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s network size, frequencies of contact, and closeness. The results show that older Koreans can b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social network types: disengaged (11.6%), ritual-family-focused (17.7%), close-family-focused (23.6%), close-restricted (28,4%), and diverse (18.8%). Characteristics by each social network type are compared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re applied to figure o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social network type. Older persons with disengag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overwhelmingly female, living alone, old-old, and of low socioeconomic status. On the other hand, older persons with diverse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young-old and had highly-ranked jobs in their mid-life. Spouse/children are the focal poi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both ritual-family-focused and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However, the proportion of men is higher in the close-family-focused type than in the ritual-family-focused. Older Koreans with close-restricted social network ties tend to be female, uneducated, and have engaged in agricultural and allied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its findings and how research in this area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dc.format.extent1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노년학회
dc.title한국 노인의 사회적 연계망 유형: 연계망 크기, 접촉 빈도, 친밀도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ocial Network Type among Korean Older Persons: Focusing on Network Size, Frequencies of Contact, and Closenes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identifier.apprname학술논문평가
dc.subject.keyword한국노인
dc.subject.keyword사회적 연계망 유형
dc.subject.keyword잠재프로파일분석(LPA)
dc.subject.keyword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dc.subject.keywordKorean older persons
dc.subject.keywordsocial network types
dc.subject.keywordlatent profile analysis
dc.subject.keyword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경희
dc.identifier.url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24958605
dc.citation.title한국노년학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765
dc.citation.endPage78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한국노년학, vol. 36, no. 3, pp. 765 - 78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