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둘째자녀 출산 포기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The Process of Giving Up the Second Birth Intention: a Qualitative Analy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ntributor.author최새은
dc.date.accessioned2017-01-25T04:07:50Z
dc.date.available2017-01-25T04:07:50Z
dc.date.issued2016-09-30
dc.identifier.issn1229-597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49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둘째 자녀에 대한 출산계획을 포기하는 요인과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6명의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한 자녀를 둔 가정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포기와 관련된 요인은 첫째자녀 양육부담과 양육지원 원조체계 부족이었다. 양육부담은 경제적 어려움을 포함하여 육체적, 정신적인 어려움까지 포괄한다. 접근성 및 지속성을 포함한 양육지원체계의 질적인 특성이 둘째출산 포기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이었다. 한 자녀를 둔 가정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포기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되었다. 양육과 씨름하는 시기, 양육의 기쁨을 느끼고 형제/자매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시기, 양육의 어려움과 지원체계 부족으로 인한 둘째자녀 계획을 포기하는 시기이다. 특히 양육의 기쁨을 느끼고 형제/자매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시기는 둘째자녀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입시기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자녀 출산계획을 포기하는 집단은 확실하게 포기하기, 미루기, 회피하기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후속출산을 포기하는 집단이 동질적이지 않음을 의미하며, 후속출산을 장려하는 정책대상자로, 확실하게 포기한 유형보다는 미루기와 회피하기 유형이 더 적합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둘째자녀 출산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개입의 종류, 시기 및 대상집단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how married women and their spouse having one child give up their intentions of having a second chil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eople from one child families and 5 people from two children families. The interviews cover the child rearing experiences and the second child intentions of the participants. A finding reveals that the second birth intention is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 of first child-rearing burdens and available support systems alleviating the burdens. Especially, the monetary concerns as well 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s a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second child birth plan of the participants. The high quality of child rearing support systems including accessibility and stability reduces the burdens. The process of giving up a second birth plan takes three categorized stages: Struggling stage, Enjoying stage and Giving up stage. The presence of the enjoying stage implies that there might be a critical time period to enhance second birth intention. The people who give up the second birth are not homogeneous. Three types of groups are classified in this study: Abandonment group, Postponement group, and voidance group. This finding implies that effective targeting groups on fertility policies are those who postpone or avoid the second child birth.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ncrease second child fert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c.format.extent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가족학회
dc.title둘째자녀 출산 포기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dc.title.alternativeThe Process of Giving Up the Second Birth Intention: a Qualitative Analysi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Academic)
dc.identifier.apprname학술논문평가
dc.subject.keyword저출산
dc.subject.keyword둘째자녀
dc.subject.keyword출산계획
dc.subject.keyword후속출산
dc.subject.keyword출산포기
dc.subject.keywordlow fertility
dc.subject.keywordsecond birth intention
dc.subject.keywordfertility pla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은희
dc.identifier.doi10.21478/family.28.3.201609.005
dc.identifier.urlhttps://doi.org/10.21478/family.28.3.201609.005
dc.citation.title가족과 문화
dc.citation.volume28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31
dc.citation.endPage1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가족과 문화, vol. 28, no. 3, pp. 131 - 16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