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1-3 of 3 (Search time: 0.001 seconds).
개인이 인지한 지역특성과 주관적 건강 및 우울의 관계: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호작용 효과 =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Self-Rated Health or Dep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김진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06-30,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2호, pp.290-315
청소년 도박문제의 경로: 문제적 및 병적 도박 경로모델의 적용 = Pathways to Adolescent Problem Gambling: An Application of a Pathways Model of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김진영; 배인경; 전종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03-31, 보건사회연구 제41권 제1호, pp.325-342
고용지위와 우울의 관계: 소득과 사회심리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pression: Mediating Effects through Income and Psychosocial Factors
송이은; 김진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3-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228-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