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7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 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9-30,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71-102 |
- 66
며느리와 딸로부터 수발받는 노인의 우울수준 및 우울관련요인의 차이 =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Correlates of Older Care Recipients’ Depression among Those Cared by Daughters and Daughters-in-law 이인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12-01,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4호, pp.124-154 |
- 65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Main Variables to the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Focused 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이금룡; 조은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03-01,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1호, pp.162-189 |
- 64
Blinder-Oaxaca 분해법을 이용한 우리나라 성인의 우울에 있어 남녀 간 차이에 대한 분석 = Blinder-Oaxaca Decomposi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in Korea 이용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6-30,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511-534 |
- 63
생애과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 건강: 초기 성인기 및 중년기 사회경제적 지위의 다중매개효과 = Socioeconomic Status and Elderly Health in Life Course Perspective: Testing of Multi-mediational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in Early Adult and Middle Aged 이현주; 정은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9-30,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53-84 |
- 62
재가 치매노인 배회감지기 적용의 효과 = Effects of Wandering Detector in Dementia Elder 전성숙; 김효은; 성상민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9-30,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393-427 |
- 61
성인기와 노년기별 기혼남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과 우울, 자아존중감의 관계 =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Men 김보은; 조영일; 유지영; 최은실; 김혜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3-31,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473-496 |
- 60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 Effect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ve Mood: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9-30,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70 |
- 59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Moderating Effect of Gender Role Stereotype 좌현숙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6-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334-366 |
- 58
감각자극 기반 표현예술치료가 독거 재가 장애인의 우울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Sensory Stimulation Based Expressive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Disabled Living Alone at Home 이선형; 배희숙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6-30,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258-279 |
- 57
장애노인의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사회적 자원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Depression to Disabled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Resources 정덕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6-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247-275 |
- 56
알코올중독자의 대인관계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icide Ideation among Alcoholic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박아름; 전종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3-01,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379-407 |
- 55
대학생의 우울, 대처동기, 음주문제의 관계: 자가처방가설의 검증 =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Cop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the Self-Medication Hypothesis 장수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3-31,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1호, pp.5-33 |
- 54
자살예방을 위한 미디어 보도 방향: 건강신념모델을 통한 우울증 보도 내용분석 = Media Guidelines for Suicide Prevention: Content Analysis of News Stories on Depression According to Health Belief Model 안순태; 이하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3-31,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529-564 |
- 53
다문화부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갈등반응행동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부부친밀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 = Moderating Effects of Hope, Couple Intimacy and Utiliza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on the Relationships of Stress and Depression or Conflict Response Behavior among the Multicultural Couples 현경자; 김정화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3-31,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1호, pp.140-180 |
- 52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Level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Home Care Elders: Focused on Comparison with Community Dwelling Elders Who Do Not Use Home Care 이인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12-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31-65 |
- 51
해외이주 한인가정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Family Function of Korean Immigrant Family 박형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12-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304-331 |
- 50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A Study of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Lone Seniors 배숙경; 엄태영; 이은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12-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5-30 |
- 49
개인과 가족의 성격특성이 가족 구성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분석 적용 =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Family Personali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Families with College Students 김석선; 길민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9-30,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34-52 |
- 48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roblem Drinking Level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Women: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송진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12-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523-5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