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
인수위 국민행복연금(안) 평가 = A Critical Review of the Proposal of the New Government on Pension, "National Happy Pension" 윤석명; 오신휘; 양혜진한국사회보장학회, 2013-05-31, 사회보장연구, vol. 29, no. 2, pp. 27 - 53 |
- 21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 The Impacts of the '98 and '07 Korean National Pension Reforms on Old-Age Income Protection by Income Level 우해봉; 한정림한국사회보장학회, 2015-11-30, 사회보장연구, vol. 31, no. 4, pp. 161 - 185 |
- 20
복지재정DB를 활용한 지방정부의 복지수준 분석 = Analysis of the welfare level of local governments using the KIHASA's Social Welfare Finance Database 고경환한국사회보장학회, 2010-08-31, 사회보장연구, vol. 26, no. 3, pp. 199 - 223 |
- 19
소비실태분석을 통한 저소득층 소득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 Estimating the Consumption-based Income of Low Income Families in Korea 강신욱; 김현숙한국사회보장학회, 2010-08-31, 사회보장연구, vol. 26, no. 3, pp. 1 - 24 |
- 18
국민연금 수급률과 급여 수준의 적정성: 성별 및 출생코호트별 차이를 중심으로 = Gender and Birth Cohort Differences in Take-up and Benefit Adequacy in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한정림; 우해봉한국사회보장학회, 2014-05-31, 사회보장연구, vol. 30, no. 2, pp. 401 - 431 |
- 17
우리나라 고령화 대응정책 평가를 위한 고령화 대응지수 개발 -OECD 21개 국가 간 비교 결과를 중심으로 = Aging Response Index (ARI) Development for Evaluating the Ageing Response Policy of Korea by Comparing ARI Result of the Twenty-one OECD Countries 김정은; 양재진; 노승용; 정홍원한국사회보장학회, 2013-08-31, 사회보장연구, vol. 29, no. 3, pp. 139 - 168 |
- 16
A complementary measurement of poverty for comparative study: Considering fixed cost for basic needs = 국가비교를 위한 보완적 빈곤측정의 탐색: 욕구영역별 고정비용의 영향 이현주; 주영선한국사회보장학회, 2013-08-31, 사회보장연구, vol. 29, no. 3, pp. 329 - 349 |
- 15
공적이전 프로그램의 재분배효과: 한국, 독일, 스웨덴, 영국 비교 연구 = Redistributive Effects of Public Transfer Programmes: A Cross-national analysis 여유진; 송치호한국사회보장학회, 2010-11-30, 사회보장연구, vol. 26, no. 4, pp. 95 - 119 |
- 14
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계층별 사망력 차이에 관한 연구 = Differential Mortality by Income Level among Old-Age Pension Recipients 우해봉; 한정림한국사회보장학회, 2017-02-28, 사회보장연구, vol. 33, no. 1, pp. 57 - 79 |
- 13
국민연금제도 적용의 성별 격차 변화: 중고령층 취업자를 중심으로 = Changes of the Gender Gap i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among the Middle-Aged and Elderly Employees 오욱찬; 유희원한국사회보장학회, 2017-08-31, 사회보장연구, vol. 33, no. 3, pp. 85 - 111 |
- 12
소득계층별 다층노후소득보장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 Future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of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by Income Level 우해봉; 한정림한국사회보장학회, 2017-11-30, 사회보장연구, vol. 33, no. 4, pp. 211 - 239 |
- 11
공공복지 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양상 비교: 읍면동 복지허브화 정책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local government's responses to policy reform: focused on the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함영진; 정상기한국사회보장학회, 2017-11-30, 사회보장연구, vol. 33, no. 4, pp. 323 - 345 |
- 10
경제위기 시 빈곤율 추정 및 사회보장제도의 한계 분석 = Micro Simulation of Poverty Rate and Coverage of Social Security Programs in Times of Economic Crisis 이현주; 강신욱한국사회보장학회, 2009-11-30, 사회보장연구, vol. 25, no. 4, pp. 51 - 75 |
- 9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있어서 재산의 소득환산제도에 대한 평가 -형평성을 중심으로- = An Evaluation Study of the Methods for Converting Assets into Income i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rogram 허선; 김미곤; 유현상한국사회보장학회, 2009-12-18, 사회보장연구, vol. 25, no. 1, pp. 1 - 24 |
- 8
공적이전 및 조세의 소득재분배효과 = Redistributive effects of public transfer programmes 여유진한국사회보장학회, 2009-02-28, 사회보장연구, vol. 25, no. 1, pp. 45 - 68 |
- 7
우리나라의 친빈곤적 성장(pro-poor growth) 분석 = An Analysis on the Pro-poor Growth in Korea 장형수; 김태완한국사회보장학회, 2008-05-31, 사회보장연구, vol. 24, no. 2, pp. 1 - 25 |
- 6
사회취약계층을 위한 교통요금감면제도의 경제적 귀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ffective incidence of the transportation fee reduction/examption program f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고경환한국사회보장학회, 2005-03-31, 사회보장연구, vol. 21, no. 1, pp. 177 - 200 |
- 5
100세 시대를 반영한 국민연금 재정전망과 대응방안 윤석명; 신화연한국사회보장학회, 2012-05-31, 한국경제포럼, vol. 5, no. 1, pp. 57 - 71 |
- 4
Oregon 의료개혁의 성과와 한계 -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위한 교훈 = Health Care Reforms in Oregon and Implications for Enhancemen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Korea 정연; 우혜영한국사회보장학회, 2013-06-30, 사회보장연구, vol. 29, no. 2, pp. 289 - 309 |
- 3
장애인-비장애인의 취업확률 및 임금 격차 분석 = Employment and wage differential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오욱찬한국사회보장학회, 2011-02-28, 사회보장연구 제27권 1호, pp.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