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보장정책 체감도와 제도 성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level of experience and policy performance in social policy

제목
사회보장정책 체감도와 제도 성과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level of experience and policy performance in social policy
저자

정홍원강은나함영진 ; 하태정

키워드
체감도 ; 정책 체감도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사회보장을 포함한 공공정책 전반에 걸쳐 '체감도'에 관한 언급과 이를 정책성과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감도'는 정책이나 사업, 기관에 대한 평가의 질적지표로서, 그리고 평가의 대상과 내용이라는 측면에서 체계성과 일관성이 미흡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체감도에 대한 개념 정립과 사회보장 영역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정책 평가 지표로 체감도를 활용한 사례 분석을 통해 정책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사회보장정책의 효과성 제고와 성과 극대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seeks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literature on using ‘sensory level of experience(SLE)’ by analyzing social big data. Therefor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finds that what social policy perception means; how it practically used on the process of social policy. In order to comment on these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reported on here involved a analysis of social data collected on the internet and analysis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6.
Certainly there is already a widespread awareness that the SLE is used practically in a variety of aspects. Usually government and other public bodies use the social policy perception in the press release and other their paper, but the terms are often used in much the same meaning as citizen satisfaction with social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E of beneficiaries and the performance of social policy was mainly explored in this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s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method was used to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recipient satisfaction and the result could offer decision-making references to making social policies.
This research ends by discussing the use of the SLE, in which the analysis of social data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results show that the SLE and policy performance is related to both aspects of policy outcome satisfaction but that the definition of the SLE has been widely debated as public bodies increasingly attempt to measure i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ocial data, SLE can be experienced in a variety of aspects and connected to both citizen satisfaction and social services. The SLE is standard practice for governments that provide social services. Therefore public bodies including governments themselves should be involved in identifying the definition of the SLE before applying it to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정책 체감도 문헌 검토 15
제1절 기대-불일치 관점에서의 정책 평가 17
제2절 체감도 관련 선행연구 검토 23
제3절 소결 32
제3장 사회보장 체감도 빅데이터 분석 37
제1절 연구 목적 및 분석 방법 39
제2절 영역별 체감도 주제 분석 44
제3절 사회보장 영역 체감도 주제 분석 61
제4절 소결 101
제4장 체감도 활용 사례 분석 105
제1절 정책 성과, 평가지표와 체감도 107
제2절 평가지표로서 체감도 활용 사례 111
제3절 사회보장정책 체감도의 유용성과 활용 방안 122
제5장 결 론 129
제1절 연구·분석의 결과 131
제2절 정책 체감도 활용을 위한 제언 134
참고문헌 13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6-52
ISBN
978-89-6827-421-3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계획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