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Macro and Micro Approaches to Link between Health Care and Childbirth

제목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Macro and Micro Approaches to Link between Health Care and Childbirth
저자

김동식 ; 김영택 ; 박수범 ; 우영지 ; 동제연 ; 정지원

키워드
임신 전 건강 관리 ; 생식건강 ; 건강행태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최근 전체 가임기 연령대에서 미숙아와 저체중아 출산 그리고 난임 비율이 증가하면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애적 건강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미 선진 국가들은 저출산 현상의 양적·질적인 문제 해결책으로 임신 전 건강관리에 주목하고, 전체 가임기를 아우르는 생애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전 가임기를 대상으로 한 생애적 건강관리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우리의 실태를 미시와 거시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정책적 통합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iscuss necessity of preconception health care and seek for the future health care policy through micro and macro analysis in response to low fertility in Korea by spread of late marriage and childbirth.
The microscopic findings showed that, according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s released over the last decade, there have been increases in the total number of patient and medical expenses relating to pre-term, low birth-weight infants and congenital abnormal infants throughout fertility expectation over the whole life course as well as pregnancy and childbearing stages.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also pointed out that health problems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have direct influences on childbirth decision of women. Meanwhile,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found that all women at fertile age have interests in pregnancy, childbirth and reproductive health not only limited to women who become pregnant or give a birth.
The macroscopic findings revealed that Korea has not paid attention to improving quality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ubsequently suggested from experts’ opinions that Korean fertility policies should expand to women at the whole fertile age rather than favoring high-risk pregnant women usually after 35 and over
As microscopic and macroscopic studies on health care and pregnancy have been conducted separately, consequential polices on fertility have been also implemented apart. Integrated approaches to the health care and pregnancy based on micro- and macroscopic results should clearly understand preference of people and their choice behaviors at micro level and consider soci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ogether at macro level.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17
제1절 저출산과 보건의료 연구 주제어 분석 19
제2절 임신 전 건강관리 관련 선행연구 고찰 24
제3절 건강한 임신·출산을 위한 생애주기 여성 건강관리 35
제4절 소결 43
제3장 국내외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정책 45
제1절 국내의 건강관리 제도 47
제2절 해외의 건강관리 제도 79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102
제4장 저출산 현상에 대한 보건의료적 미시 분석 107
제1절 임신과 출산, 건강 관련 SNS 분석 109
제2절 임신과 출산, 건강에 관한 생애사적 심층 분석 120
제3절 임신과 출산의 건강 위험과 보건의료 이용 실태 172
제4절 소결 215
제5장 저출산 현상에 대한 보건의료적 거시 분석 219
제1절 전문가 심층면접 221
제2절 전문가 의견조사 237
제3절 소결 269
제6장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거시 미시적 접근 방안 275
제1절 미시적 분석 결론 277
제2절 거시적 분석 결론 279
제3절 미시 거시 통합적 접근 방안 286
참고문헌 29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6-44-04
ISBN
978-89-6827-413-8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