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주택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The macro- and micro-level analysis of the effect of housing conditions on fert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천현숙
dc.contributor.author이길제
dc.contributor.author김준형
dc.date.accessioned2017-05-17
dc.date.available2017-05-17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41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1211
dc.description.abstract저출산 현상과 관련하여 주거 문제는 젊은 세대의 결혼과 출산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지만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부의 주거분야 지원정책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주택과 관련한 여러 요인들이 지역의 출산율과 개별가구의 출산의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거시적, 미시적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housing that affect the birthrate of the regions and determine how these factors influence individual decisions to have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oth housing sale and leasing prices by region have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its marriage rate and birthrate. The ratio of small and medium-sized housings (less than 60㎥) and the propor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ts marriage rate,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n its birthrate. Furthermore, the decisions of newly married household to have children have been delayed if they have a higher burden of housing cost and live in a smaller size of housing (less than 15 pyeong). Meanwhile, their decision to have children have not been delayed if they have their own housing, which can further explain a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terms of additional birth on for those who already have children. Accordingly,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a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n understanding of the linkage between the level of housing prices and housing cost burdens can elucidate the potential impact on childbir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범위 및 수행 방법 10 제3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1 제2장 주택과 출산율 관련 선행연구 15 제1절 주택과 출산율 17 제2절 기타 출산율 관련 변수 21 제3장 결혼·출산 지원 주거정책 현황 25 제1절 공공임대주택 정책 현황: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 27 제2절 금융 지원 정책 현황: 신혼부부 및 다자녀 가구 32 제4장 거시 분석: 시도별 주택 특성과 결혼·출산 35 제1절 시도별 주택 관련 변수와 혼인율 및 출산율 추이 37 제2절 분석 틀 51 제3절 시도별 주택 관련 변수와 혼인율 및 출산율의 관계 55 제5장 미시 분석: 신혼가구 주거 특성과 출산 59 제1절 분석 자료 및 분석 틀 61 제2절 주거 특성과 자녀수 관계 분석: 자녀수 결정모형 65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81 제7장 보론: 사회초년가구의 주거비 부담과 자산형성 89 제1절 배경 91 제2절 연구 설계 92 제3절 결과 및 해석 95 제4절 결론 및 시사점 110 참고문헌 113 부 록 117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주택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dc.title.alternativeThe macro- and micro-level analysis of the effect of housing conditions on fertili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합계출산율
dc.subject.keyword출산연기
dc.subject.keyword주택가격
dc.subject.keyword주거비부담
dc.subject.keyword저렴주택
dc.subject.keyword주거환경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44-0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44-03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