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교육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A study on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A macro-micro perspectiv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경근
dc.contributor.author우석진
dc.contributor.author최윤진
dc.date.accessioned2017-05-17
dc.date.available2017-05-17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410-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1209
dc.description.abstract교육 관련 요인들은 저출산 현상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간의 연구들은 미시적 수준에서 고학력화로 인해 결혼이나 출산이 지연되는 문제나 과중한 양육·교육비 부담이 저출산을 유발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미시적 수준의 의사결정은 거시적 차원의 사회문화적, 구조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과 저출산 현상 간의 연계성을 살펴봄에 있어 거시-미시를 연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plicated link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focusing on how macro-level factors influence micro-level decisions with respect to marriage and family formation. After construct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influence on fertilit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are followed to explore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Lastly, policy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fertility rate are discussed. Education fever in Korea appears to be a major cause for low fertility. The financial burden of childrearing hinders fertility rate, in particular. The quantitative analysis confirms the fact that increased education cost drops fertility rate. College tuition and private tutoring fee are especially related to low fertility. Qualitative analysis also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low fertility. Educational attainment is positively related to age at first employment and marriage due to labor market situation. In addition, excessive parental desire for children’s future career success restricte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under the social atmosphere of credentialism and poor employment rate in labor market. Based on these results, two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full governmental support on childrearing is necessary. Second, parenting style fixated on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redirected to focusing more on emotional support for children to develop social skills and character suitable for contemporary Korean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13 제3절 연구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자녀의 가치와 그 영향요인 및 출산 21 제2절 대학 진학,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 관련 요인 30 제3절 형제자매 수와 인지적·정의적 발달, 양육 방식 간 관계 41 제3장 교육과 출산 간 거시-미시 영향모형 및 정책적 함의 49 제1절 교육과 출산 간 연관성 이해를 위한 모형 설정의 논거 51 제2절 교육과 출산 간 거시-미시 영향모형의 실제 53 제3절 교육과 출산 간 거시-미시 영향모형의 정책적 함의 59 제4장 교육비가 출산에 미친 효과 63 제1절 연구 개요 65 제2절 연구 모형 및 분석 방법 67 제3절 분석 결과 73 제4절 소결 79 제5장 교육과 출산의 연계성에 대한 질적 연구 81 제1절 연구 방법 83 제2절 교육 수준과 결혼이행 과정: 고학력화 추세를 중심으로 92 제3절 교육열과 저출산의 연쇄작용: 자녀 수 결정요인 및 양육 방식의 해부 114 제4절 소결 151 제6장 교육과 출산 간 연관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에 대한 종합적 논의 161 제1절 교육 관련 미시적 요인의 출산에 대한 영향 163 제2절 교육 관련 거시적 요인의 출산에 대한 영향 165 제3절 종합적 논의 및 시사점 166 제7장 결 론 169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171 제2절 향후 정책 방향 176 참고문헌 181 부 록 19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교육과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A macro-micro perspectiv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교육열
dc.subject.keyword저출산
dc.subject.keyword외동아
dc.subject.keyword형제아
dc.subject.keyword사교육비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44-0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44-01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