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III) - 사회통합 국민인식 = A Study of Social Cohesion: Koreans’ Perceived Social Cohes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김문길
dc.contributor.author우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date.accessioned2017-04-10T02:11:09Z
dc.date.available2017-04-10T02:11:0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84-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9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인식 구조를 밝히고, 인식수준의 구조적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성인남녀 3,669명을 대상으로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국민인식 구조의 특징을 밝히고, 기존 국제조사 결과와 연계하여 사회통합 상태 수준을 국제 비교 하였으며, 사회갈등 인식과 사회통합의 관계, 박탈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사회통합 인식과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우리 사회에서 사회통합은 단일한 상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인정하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구조에서 사회이동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사회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 수단 모색이 필요함을 밝혔다. 아울러 박탈 및 미래 불안이 사회통합 인식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책대응 방안 모색을 위해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public’s recognition of social cohesion in Korea;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perceived social conflict and perceived social cohesion,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and happiness. Previous studies on social cohesion have identified that Koreans understand social cohes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Understanding factors that cause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f individuals may be useful in making effective policy responses. As a part of this study,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of a total of 3,669 adult Koreans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questions concerning sub-concepts of social cohesion, social changes,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and the degree of social exclu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to July of 2016. This report is comprised of 7 chapters. Following Chapter 1, an introduction, Chapter 2 analyses the structure of the recognition of social cohes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how Koreans perceive the state of social cohesion and weight the elements of social cohesion. Chapter 3 diagnoses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in Korea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urvey measurement of the state of social cohesion with that of international survey measurement of it. Chapter 4 examines Koreans’ perceived social conflict and analyses its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Chapter 5 examines the sense of depriv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ceived social cohesion. Our analysis in Chapter 6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and happiness. Lastly, Chapter 7 summarizes the preceeding discussions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any Koreans regard social mobility as a prerequisite for a cohesive society.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Korean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objective living conditions. Third, the effect of economic conflicts on social cohesion has led to values conflicts. Fourth, people’s sense of deprivation of basic living conditions, cultural life, and preparedness for the futur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social cohesion. Fifth, perceived social cohe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happiness, life satisfaction, and eudaemonic happiness and decreases dep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7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설계 20 제2장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 구성 29 제1절 연구 배경 31 제2절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32 제3절 분석 결과 40 제4절 소결 60 제3장 사회통합 수준의 국제 비교 63 제1절 사회통합 측정 지표 및 자료 65 제2절 사회통합 수준의 국제 비교 71 제3절 소결 93 제4장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인식 97 제1절 서론 99 제2절 선행 연구 102 제3절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인식 103 제4절 사회갈등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116 제5절 소결과 정책 함의 123 제5장 박탈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12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9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130 제3절 분석 결과 135 제4절 소결 151 제6장 행복과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 155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7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158 제3절 분석 결과 164 제4절 소결 173 제7장 결론 및 연구 함의 175 제1절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 상태와 조건 177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 제언 179 참고문헌 185 부 록 191 1.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표본 설계 191 2.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설문지 208 3. 「사회통합 실태 및 국민 인식 조사」 기초 분석 223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III) - 사회통합 국민인식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ocial Cohesion: Koreans’ Perceived Social Cohes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통합
dc.subject.keyword사회 인식
dc.subject.keyword사회적 배제
dc.subject.keyword사회갈등
dc.subject.keyword국민행복
dc.subject.keywordsocial cohesion
dc.subject.keywordsocial perception
dc.subject.keywordsocial exclusion
dc.subject.keywordsocial conflicts
dc.subject.keywordhappiness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문길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선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2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25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