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출산력 조사(1974~2012)를 활용한 한국의 출산력 변천과정 연구 = A Study of Fertility Changes in Korea: Based on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1974∼2012)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영희
dc.contributor.author김경래
dc.contributor.author신창우
dc.contributor.author배혜원
dc.date.accessioned2017-04-05T07:04:55Z
dc.date.available2017-04-05T07:04:5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80-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9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인구정책 발전 과정을 정리·분석하고, 기존 전국 출산력 조사자료의 재분석으로 기혼여성의 출산행태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며, 기혼여성의 출산행태가 인구정책과 어떤 상호작용을 맺으며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인구변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출산력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향후 저출산정책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changes in the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rtility rates, pregnancy and childbirth behavior, family values of ever-married women of childbearing age (15~49) using the time series on a database of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1974~2012).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population policy over the last fifty years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view. Also, we analyzed how the changes in childbirth behavior of married women changed with population policy the process of fertility transition which played a key role in demographic change, and tri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 for the futur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ublicity and education for positive changes in values of family and children. Second, there is a need for policy support to reduce the prevalence of pregnancy loss. Third, efforts are needed to narrow the gap between family values perceived by households and family values perceived by the govern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ffective incentive to resolve the issue of late marriage. Fifth, a comprehensive family policy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specific target groups. Lastly, population policy must be pursued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The authors are in hopes that further research attempts would be built on this research to provide solutions to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우리나라 인구정책의 발전 과정 31 제1절 인구정책의 기본 구조 33 제2절 인구정책의 전개 과정 36 제3절 인구정책과 출산율 변화 52 제4절 인구정책 수립?지원을 위한 출산력 조사 60 제3장 기혼여성의 일반특성 63 제1절 기혼여성의 교육수준 65 제2절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양상 69 제3절 기혼여성의 초혼연령 78 제4절 소결 85 제4장 출산수준 87 제1절 우리나라 여성의 출산율 89 제2절 기혼여성의 출생아 수 94 제3절 소결 99 제5장 임신?출산행태 103 제1절 출산 시기 및 출산 간격 105 제2절 임신종결 형태 112 제3절 유배우부인의 피임실천 양상 120 제4절 소결 127 제6장 가족가치관의 변화 129 제1절 결혼가치관 131 제2절 자녀가치관 158 제3절 이상자녀수 및 기대자녀수 171 제4절 소결 201 제7장 결 론 205 제1절 인구정책과 출산행태 변화와의 관계 207 제2절 정책적 제언 212 참고문헌 223 부 록 227 부록 1. 출산력 조사자료 연도별 기존변수 수정 및 신규변수 생성방법 227 부록 2. 부표 23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출산력 조사(1974~2012)를 활용한 한국의 출산력 변천과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Fertility Changes in Korea: Based on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1974∼2012)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인구정책
dc.subject.keyword출산수준
dc.subject.keyword임신종결
dc.subject.keyword결혼가치관
dc.subject.keyword자녀가치관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경래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영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2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21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