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보장 재정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구(2차년도) = Aging Society and Economic Impact of Increasing Social Welfare Finance(2nd Year)

제목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보장 재정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구(2차년도) = Aging Society and Economic Impact of Increasing Social Welfare Finance(2nd Year)
저자

원종욱 ; 장인수 ; Jinkook Lee ; Italo Lopez Garcia ; David M.K.Knapp

저자(타언어)
이진국
키워드
인구구조 변화 ; 사회보장재정 ; 파급효과 ; 사회계정행렬 ; 거시계량모형 ; 동태행위모형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미국 RAND 연구소의 3년 간 진행되는 공동작업의 2차년도 연구결과로서, 사회계정 승수행렬과 단기 거시계량모형, 동태행위모형을 각각 적용하여 지난 1차년도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국민연금의 거시, 미시경 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정교한 계량모형을 적용하여 동, 정태적 측면, 거시/미시적 측면에서의 보사연 고유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It is the second year work of three-year project of modeling effect of social security finance to the macro-economy and household decision making in retirement timing and saving. In 2015, we have built three quantitative models of Social accounting matrix, Macro econometric model, and dynamic behavioral model that can evaluate impact of social security finance to the macro-economy and household decision making. In 2016, we tested impact of national pension finance toward macro and micro economy by utilizing three different models. We tested situation of contribution increase from 9% to 11%, and found that influx of pension fund to economy could produce positive effect in GDP growth rate despite of diminishing disposable income due to increase in contribution rate. However as portion of overseas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 increases the positive effect on GDP growth rate diminish or turn to negative effect.
In micro level, we have tested contribution increase to observe pension participants timing of retirement and level of saving using dynamic programming. With 2% point increase in contribution rate, on average, people tend to retire earlier than before and save less. In 2016 work of dynamic analysis, we have utilized actual reported income data from NPS to match KLoSA data as cell type merge. By doing this, we obtained better estimate of pension benefit and real income. Also, we could increase sample size by including self-employed that was deleted due to lack of information to estimate income.
We will continue to extend dynamic programming model to add health effect or health insurance effect top of pension model in 2017. We hope that our three-year work on modeling effect of social security finance could enhance feasibility of policy experiment in social security system and finance.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2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1
제2절 연구방법론 33
제2장 국민연금기금의 국내투자 경로 분석 37
제3장 사회계정행렬을 적용한 국민연금의 보험료 인상과 기금 적립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51
제1절 연구 방법 53
제2절 분석 결과 73
제4장 단기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국민연금재정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87
제1절 연구 개요 89
제2절 보사연 국민연금재정 단기거시계량모형 93
제3절 분석 결과 99
제5장 동태행위모형(Dynamic Programming)을 이용한 국민연금의 제도 변화에 따른 노동 공급 및 저축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127
제1절 국민연금 동태행위모형의 2차 연도 연구 개요 129
제2절 파라미터 추정 결과 150
참고문헌 167
부 록 169
부록 1. 경로 분석 중 VECM 모형 분석 결과 169
부록 2. 단기거시계량모형 추정식에 대한 역사적 사후 검증 분석 결과 182
부록 3. 동태행위모형 구성 18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6-20
ISBN
978-89-6827-379-7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