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친화적 노인주거
; 노인 인구이동
; 지역의 고령화
; 노인주거 모델의 지역화
; 주거정책 거버넌스
Publication Year
2016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인구구조의 고령화 현상은 향후 노인주거에 대한 양적·질적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보다 앞서 노인인구의 증가를 경험한 선진국들은 시설 중심의 관리적 돌봄에서 노인들이 스스로 삶을 살아가는 주거형태로 정책적 관심을 전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이 살던 주거지역에서의 계속거주(Aging in Place)를 지원하는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를 위한 정책적 기초 마련에 기여하고자 노인주거지원 방안들이 지향해야 할 기본적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노인주거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how)보다는 어디에 만들어야 하는가(where)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노인의 인구이동 분석과 국내외 노인주거모델 사례분석 결과들의 결합을 시도한다.
Ageing in Place (AIP) is a key component of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Helping seniors to ‘age in place’ at home where they have stayed is expected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and reduce the social cost of elderly facility, healthcare, and welfare deliv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community-based housing model for seniors in Korea. With respect of AIP, main research interest focused on question to ‘where’ rather than ‘how’ which pervious studies have proposed. This study analyzed the migration pattern of elderly and non-elderly population, and case stud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cluding Japan, UK, and U.S. Findings show that migration affects popul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population at local level. Based on findings of migration analysis and case study, this study recommend three localized community-based housing models for seniors: 1) depopulated old town model, 2) apartment complex based new town model, 3) and rural model.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3절 노인주거 관련 선행연구 고찰 17 제2장 노인주거지원 정책 현황 분석 25 제1절 주거지원 정책의 변화 27 제2절 노인주거지원 정책 현황 분석 36 제3절 소결: 국내 노인주거지원 정책 평가 46 제3장 노인주거모델 국내 사례 53 제1절 국내 노인주거모델 사례 분석 55 제2절 소결 79 제4장 노인 인구이동 분석을 통한 노인주거 수요 전망 85 제1절 우리나라 노인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 87 제2절 노인 인구이동 방향성 분석 91 제3절 노인 인구이동 순이동률 분석 99 제4절 소결: 인구이동이 지역 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 118 제5장 해외 노인주거모델 정책 동향 분석 121 제1절 일본 정책 동향 분석 123 제2절 영국 정책 동향 분석 148 제3절 미국 정책 동향 분석 155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67 제1절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설계 원칙 169 제2절 한국형 노인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정책 제언 174 제3절 맺음말 180 참고문헌 183 부 록 197 부 록 1. 일본 사례 분석 197 부 록 2. 영국 사례 분석 215 부 록 3. 미국 사례 분석 228
Local ID
연구보고서 2016-18
ISBN
978-89-6827-377-3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Regional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 Welfare for older person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