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공간정보 연계를 통한 보육서비스 인프라 적정성 분석 =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upply of Childcare Service Infrastructure Using Spatial Data and Accessibility Indicato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현수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장동익
dc.contributor.author양미선
dc.contributor.author천미경
dc.date.accessioned2017-03-07T06:30:05Z
dc.date.available2017-03-07T06:30:0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isbn978-89-6827-375-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82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연계 및 활용하여 보육시설 분석 DB를 구축하고, 공간정보 연계를 통해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보육서비스 인프라 공급 분석 및 평가, 신규 보육시설 추가 설치에 따른 접근성 변화 예측, 교통접근성 지표를 고려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통접근성 지표를 기준으로 보육시설 접근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지표를 활용하여 2012년 이후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에 따른 접근성 개선효과 분석 및 평가, 신규 시간제 보육시설 추가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통접근성 변화 예측, 보육시설 수요 공급과 교통접근성 지표를 반영한 읍면동 단위 지역별 클러스터링 및 특성 분석을 통해 향후 보육시설 확충 계획수립 및 추진 시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given to creating new value by establishing evidence-based policy and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provis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1) construct a database by linking various public data and spatial data, (2) measure the accessibility of childcare facilities by using various accessibility indicators, (3) analyze and evaluate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expansion of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by using accessibility indicators in addition to existing childcare facility supply indexes, (4) predict the change of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through the simulation of new placement of the temporal childcare facilities, (5) cluster region by using the demand and supply indicators, accessibility indicators of childcare facilities, (6)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policy decisions that could be used directly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the childcare facilities expansion plan. We proposed three policy alterna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Legalization of the periodic assessment of the demand and supply adequacy of childcare facilities (3 to 5­year cycle) : Extension to various infrastructures in social services area as well as childcare facilities (2)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evaluation of plans for expansion of childcare facilities in national and municipal governments by using spatial data linkage and accessibility indicator : Inclusion accessibility indicators in checklists or indicators related to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expansion plan of childcare facilities (3) Establishment and evaluation of the evidence­based policy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policy decision support system The methodologies we used here and the results from our empirical analysis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national and local-level social service infrastructure and childcare fac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20 제3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한계 32 제2장 보육시설 공급 정책 추진 현황 및 주요 고려 사항 39 제1절 보육시설 공급 정책 및 현황 변화 42 제2절 보육시설 확충 추진 방향 및 고려 사항 62 제3장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국공립 보육시설 공급 분석 및 평가 83 제1절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국공립 보육시설 공급 분석 85 제2절 2012년 이후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에 따른 교통접근성 개선 평가 122 제4장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시간제 보육시설 공급 분석 및 예측 151 제1절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시간제 보육시설 공급 분포 분석 154 제2절 시간제 보육시설 추가 설치에 따른 교통접근성 변화 예측 사례 분석 179 제5장 공간정보 연계를 통한 보육시설 수요 공급 분포 클러스터링 및 특성 분석 193 제1절 지역별 보육시설 공급 분포 및 클러스터 분석 DB 구축 196 제2절 지역별 보육시설 수요 공급 지표를 활용한 클러스터링 및 특성 분석 203 제3절 교통접근성을 반영한 보육시설 수요 공급 분포 지역별 클러스터링 및 특성 분석: 서울특별시 214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25 제1절 연구내용별 주요 분석결과 227 제2절 정책 제언 234 참고문헌 239 부 록 243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공간정보 연계를 통한 보육서비스 인프라 적정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Supply of Childcare Service Infrastructure Using Spatial Data and Accessibility Indicato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공간정보 연계
dc.subject.keyword교통접근성 분석
dc.subject.keyword통행시간 지표
dc.subject.keyword도착지 지표
dc.subject.keyword출발지 지표
dc.subject.keyword보육시설 수요 공급
dc.subject.keyword국공립 보육시설
dc.subject.keyword시간제보육사업
dc.subject.keyword지역별 클러스터링
dc.subject.keywordspatial data linkage
dc.subject.keywordtransportation accessibility analysis
dc.subject.keywordtravel time indicator
dc.subject.keyworddestination indicator
dc.subject.keyworddeparture in-dicator
dc.subject.keyworddemand and supply of childcare facilities
dc.subject.keyword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facilities
dc.subject.keywordtemporal childcare facilities
dc.subject.keywordre-gional clusteri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현수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6-1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6-16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