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환경 다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진단과 대응 전략 = The Diagnosis of Family Crises and Social Policies on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Environment

제목
사회환경 다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진단과 대응 전략 = The Diagnosis of Family Crises and Social Policies on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Environment
저자

김유경 ; 이여봉 ; 손서희 ; 조성호 ; 박신아

키워드
가족자원과 가족위기 ; 만성적 위기 ; 응급적 사건·사고위기
발행연도
2016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우리 가족ㆍ사회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많은 가정이 가족보호기능을 상실하거나 가정해체 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특수한 가족 욕구에 대응하는 맞춤 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사회적 안전망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족변화 및 응급적 요인으로 인한 위기 발생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생산하고 가족해체를 가속화시켜 우리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매우 시급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므로 지속 가능한 가족의 유지와 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가족위기에 대비하여 가족위기 원인과 가족ㆍ사회학적 현상을 심층적으로 규명하는 한편, 가족위기유형별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맞춤형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With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many famili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the weakening of intra-family protection and family breakdown, due to dissolution and accumulation such as entry of new poor population, a vacuum of careㆍsupport, divorceㆍseparation, etc. and emergent accidents such as suicideㆍdisaster, etc. However, customized service responding to special needs of families is insufficient. In a situation where social safety nets are not established, the occurrence of crises resulting from family changes and emergent factors produces a vulnerable social group, speeds up family dissolution and negatively affects our society, which emerges as a very urgent social proble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reate policies for sustainabl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our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for family crises against family crises and familyㆍsociological phenomena in depth, and diagnose problems and by the way, seek a customized counter strategy by crisis type.
As a strategy against chronic crises, an economic support network targeting families in a financial crises should be expanded. As a counter-plan against the crises of family support, life-periodic and systematic support, expansion of a work-family balance system, expansion of a multi-layered and social safety net to alleviate the burden of caring for adult children, etc. should be sought. As a counter plan against family relationship crises, measures to cope with post-control violence or abuse and addiction, etc. should be taken at an systematic level, and in terms of prevention, a professional service to increase family cohesion and elasticity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customized educationㆍcounselㆍtreatment and crisis response ability.
As a strategy against emergent crises, a community-based preven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and a network against emergent crises should be reinforced. Specifically, in response to disaster crises, by establishing a complete manual based on community environments, local conditions, and architecture resources, its effectiveness should be raised. Furthermore, in response to continuos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the families injured by disaster, national professional aid organizations will have to be expanded. As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plan, self meetings for community-centered customized bereaved families should be prepared and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to them.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제2장 가족위기에 대한 이론적 배경 27
제1절 가족위기의 개념 및 유형 29
제2절 가족자원과 가족위기 38
제3절 가족위기에 대한 이론적 관점 45
제4절 가족위기에 대한 선행연구 55
제5절 시사점 67
제3장 가족사회변화 원인과 위기현상 분석 71
제1절 사회적 변화와 위기현상 73
제2절 제도적 변화와 위기현상 88
제3절 가족변화와 위기현상 92
제4절 개인 차원의 변화와 위기현상 110
제5절 시사점 124
제4장 가족위기 유형별 특성 및 건강성 진단 129
제1절 가족위기의 인식 및 특성 131
제2절 만성적 위기와 건강성 154
제3절 응급적 사건ㆍ사고위기와 건강성 258
제4절 시사점 309
제5장 국내외 가족위기 관련 제도 및 정책 사례 비교 분석 313
제1절 이론적 배경 315
제2절 국내 가족위기 관련 법ㆍ정책 317
제3절 국외 가족위기 관련 정책 358
제4절 국내외 정책의 시사점 396
제6장 가족위기 유형별 대응 전략 405
제1절 정책 방향 407
제2절 만성적 위기 대응 전략 408
제3절 응급적 위기 대응 전략 423
참고문헌 433
부 록: 가족위기에 대한 인식태도 및 실태조사 조사표 45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6-08
ISBN
978-89-6827-367-4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