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장기요양기관의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의 차이와 변동 = The Effect of Brand Nam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Consumer's Choic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유재언
dc.date.accessioned2017-01-09T04:43:33Z
dc.date.available2017-01-09T04:43:33Z
dc.date.issued2016-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589
dc.description.abstract상호명은 이용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선택이 상호명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빅데이터의 일종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데이터베이스 시설급여제공 장기요양기관 4,846개소 자료를 활용하여 2014년과 2015년 장기요양기관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 차이(연구문제 1)과 상호명 변경에 따른 (연구문제 2) 정원충족률 변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4년과 2015년 두 시점에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성향점수매칭 후 이중차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장기요양기관 정원충족률은 상호명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지만, 2014년에 비해 2015년 들어서 그 차이가 줄어들었다. 아울러 상호명을 변경한 장기요양기관은 상호명을 변경하지 않는 장기요양기관에 비해 1년 사이에 정원충족률이 약 5~6%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장기요양기관 평가제도와 정보공개제도를 보완하여 이용자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주권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논의를 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Older adult consumers with long-term care needs choose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by searching for LTCFs' information, but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TCFs' enrollments and their brand name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TCFs' enrollments differed from their brand names in South Korea in 2014 (Time 1: T1) and 2015 (Time 2: T2). Data for the present study included information on 4,846 LTCFs that was extra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TCFs' enrollments varied from their brand names at T1 rather than at T2. In addition,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enrollment difference (T2-T1) of LTCFs in which changed their brand names was lower than those of LTCFs not changed their brand names.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although the LTCFs' brand name influenced consumer's choice, the impact of brand name on the enrollment decreased over the one year.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장기요양기관의 상호명에 따른 정원충족률의 차이와 변동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Brand Nam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Consumer's Choic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장기요양기관
dc.subject.keyword노인돌봄
dc.subject.keyword요양시설
dc.subject.keyword정원충족률
dc.subject.keyword빅데이터
dc.subject.keywordLong-term Care Insurance
dc.subject.keywordElderly Care
dc.subject.keywordNursing Home
dc.subject.keywordEnrollment Rate
dc.subject.keywordBig Data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314
dc.citation.endPage34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314-34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4, pp.314-34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