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정책영향자의 사회통합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Awareness of Social Cohesion among Policy Influence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양재진
dc.contributor.author이창곤
dc.contributor.author우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date.accessioned2016-12-16T08:11:55Z
dc.date.available2016-12-16T08:11:5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bn978-89-6827-279-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20030
dc.description.abstract□ 최근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통합 인식조사는 여러 기관에서 수행된 바 있지만, opinion leader 대상의 인식조사는 거의 없었음. □ 이에, 사회지도층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일반국민의 인식과는 얼마나 통합 혹은 괴리되어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opinion leader로서의 책임감과 사회통합을 위한 역할 등을 제시하고자 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awareness of social cohesion and social policy among policy influence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to find ways to strengthen social cohesion in Korea. We conducted a survey of 361 policy influencers including secretaries to lawmakers,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on their awareness of social cohesion and social policy.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social cohesion and social polic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need to enhance social cohesion through social policy implementations. In terms of the three key components of social cohesion as identified by the OECD (2011)―social inclusion, social capital, and social mobility―policy influencers seemed be concerned about the current state of social cohesion in Korea. Second, social policy makers need to put more weight on supporting the disadvantaged and on tackling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Policy influenc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income support for the poor, minimum income,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Third, it is time to convince the general public and policy influencers of the need and how to raise tax in order to finance necessary policy meas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3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19 제1절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과 태도에 대한 개념적 접근 21 제2절 복지정책 형성에 대한 참여자의 태도와 역할 28 제3절 정책영향자 조사관련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34 제4절 조사설계 및 분석틀 55 제3장 정책영향자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 65 제1절 서론 67 제2절 정책영향자 집단의 사회통합 인식 72 제3절 정책영향자 집단의 사회통합 인식 결정요인 91 제4절 분석의 함의 95 제4장 정책영향자의 복지정책과 증세에 대한 인식 97 제1절 서론 99 제2절 소득격차와 국가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 인식 100 제3절 복지 확대에 대한 프로그램별 선호 104 제4절 복지증세와 정책주체별 영향력에 대한 인식 113 제5절 소결 120 제5장 정책영향자의 복지인식 결정요인 연구 123 제1절 서론 125 제2절 이론적 배경 126 제3절 분석 결과 131 제4절 소결 144 제6장 결론 및 정책 건의 147 제1절 연구결과의 함의 149 제2절 정책 건의 152 참고문헌 155 부 록 159 부록 1. 「2015년 사회통합 정책영향자 인식조사」 조사표 159 부록 2. 기초분석표 172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정책영향자의 사회통합 인식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Awareness of Social Cohesion among Policy Influencer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정책영향자
dc.subject.keyword정책결정자
dc.subject.keyword사회통합 인식
dc.subject.keyword복지정책 인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선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5-2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5-26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