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개인과 가족의 성격특성이 가족 구성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분석 적용 =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Family Personali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Families with College Stude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석선
dc.contributor.author길민지
dc.date.accessioned2016-10-11T06:51:29Z
dc.date.available2016-10-11T06:51:29Z
dc.date.issued2016-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5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 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가족 성격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족구성원(아버지, 어머니, 자녀) 모두의 자료 수집 가능여부와 다층모형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예비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아버지, 어머니, 대학생 자녀가 모두 연구에 동의한 65가족으로, 총 195명(아버지 65명, 어머니 65명, 자녀 65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의 4개 대학의 동아리방과 학생관을 방문하여 대상자를 모집하고, 우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Multilevel modeling 다층모형을 사용하여, 독립변수로 1차 수준인 개인의 성격특성과 2차 수준인 가족의 성격특성이 종속변수인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층모형 분석결과, 1차 수준인 개인의 성격특성에서 신경증은 우울을 증가시키고, 성실성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수준인 가족의 성격특성에서는 성실성이 우울을 증가시키고, 친화성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 수준의 성격특성은 개인 수준의 성격특성과 함께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성격 특성과 가족 수준의 성격특성을 함께 고려한 우울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and family person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families with college students. This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recruiting and collecting data from families and to analyze data using Multilevel Modeling. A total of 195 family members (65 fathers, 65 mothers, and 65 college-student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modeling. Our analysis revealed that individual-level neurotic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nd conscientious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lso, family-level agreeableness was related to lower depressive symptoms, whereas family conscientiousness was related to higher depressive symptom leve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sonality factors could be used to identify individuals and families at risk for depression and to develop tailored intervention for both individuals and families.
dc.format.extent1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개인과 가족의 성격특성이 가족 구성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분석 적용
dc.title.alternativeA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Family Personali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Families with College Studen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대학생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다층모형분석
dc.subject.keyword성격
dc.subject.keyword가족성격
dc.subject.keywordCollege Students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Multilevel Analysis
dc.subject.keywordPersonality
dc.subject.keywordFamily Personality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34
dc.citation.endPage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3호, pp.34-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3, pp.34-52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