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 수준의 국가간 비교연구 : 자원봉사활동과 기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Capital and Private Welfare Resourc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세경
dc.contributor.author강혜규
dc.contributor.author이준영
dc.contributor.author정진경
dc.contributor.author한동우
dc.contributor.author박소현
dc.date.accessioned2016-09-09T07:04:02Z
dc.date.available2016-09-09T07:04:0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isbn978-89-8187-595-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428
dc.description.abstract- 최근 한국사회를 둘러싼 대내외적 경쟁여건은 더욱 치열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로의 이전과정에서 잠재성장률이 둔화하고 사회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통합이라는 커다란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음 - 사회자본은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전체사회의 지속가능성과 연결시킬 수 있지만, 다차원적이고 주관적이며 관계적 수준에서 관찰ㆍ측정되기 때문에 그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비해 [국내] 실증연구는 초기단계의 수준임. - 민간 복지자원의 확충은 사회복지 부문에 투입되는 공공자원의 한계수준에 이르러 봉착하게 될 다양한 위기상황에 대응하여 국가복지의 책임을 분담하고, 공적 복지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적 기제임. - 본 연구는 사회발전의 지속가능성을 타진하고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사회구성원간의 협력적 태도 및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사회자본 간의 상호 연관성을 비교사회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함.
dc.description.abstract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has been associated with a number of features central to public policy making. Referring to relatively elusive features such as social trust, reciprocity, networks and participation, it has been shown to be a significant factor of economic growth, social engagement,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social integration. The presence of social capital determines how effectively societies work together and lubricates voluntary collective action.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measured in any satisfactory way yet, but has been addressed in various ways and tried to composite social capital index. Recently, volunteering and philanthropic giving has widespread as social phenomenon with high relevance for private welfare resource. From public welfare system's point of view, those are highly desirable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pubic welfare that would otherwise require public budget. In addition volunteering and giving resource would make up for the rigidity as well as ineffectiveness of the welfare bureaucrats and administration. Using a secondary data,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volunteering efforts and between the levels of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ic giving among US, UK, Japan and Korea. This study found that both volunteering efforts and philanthropic giving have a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ocial capital index. Thus, by strengthening and facilitating volunteering and giving, we can construct and promote culture of sharing and eventually cumulate social capital. Alth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because of using the secondary data, it made a contribution to expanding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volunteering and philanthropic giving by exploratory comparisons among 4 countrie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and more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a sound analytic elaboration and solid data. Finally, based on the finding of this study, researchers discuss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ncrease and revitalize citizen's participation of volunteering activities and philanthropic giving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주요 연구내용 제2장 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 제2절 한국의 민간 복지자원 운용 제3절 소결 제3장 주요 국가의 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 제1절 사회자본의 측정에 대한 논의 제2절 주요 국가의 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 제4장 민간 복지자원으로서 자원봉사활동의 국가별 비교 제1절 연구개요 제2절 선행연구 고찰 제3절 국가별 자원봉사활동 현황 제5장 민간 복지자원으로서 기부활동의 국가별 비교 제1절 한국의 개인기부 실태 제2절 한국의 기업기부 실태 제3절 국가별 기부 현황 제6장 민간 복지자원 확충을 위한 대안과 전략의 모색 제1절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제2절 기부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자본과 민간 복지자원 수준의 국가간 비교연구 : 자원봉사활동과 기부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Capital and Private Welfare Resourc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자본
dc.subject.keyword복지자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강혜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세경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09-2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09-20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