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약(생약)분야관리대상물질의 안전성 연구 =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in oriental(herbal) medicin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정선
dc.contributor.author이국여
dc.contributor.author조일규
dc.contributor.author이난희
dc.contributor.author장미희
dc.contributor.author박소현
dc.contributor.author최시내
dc.contributor.author정다화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ontributor.author홍지연
dc.contributor.author강주은
dc.contributor.author김백종
dc.contributor.author박은수
dc.contributor.author정성현
dc.date.accessioned2016-07-19
dc.date.available2016-07-19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6308
dc.description.abstract이번 연구는 한약(herbal medicines) 중 관리대상물질인 유해물질의 오염도를 파악하고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관리대상 물질별 위해영향평가 기초자료를 확보하였고, 둘째, 관리대상 물질의 오염도를 조사하였으며, 셋째, 오염도 조사결과에 따른 공정서 규격설정에 대한 사전 검토를 수행하였고, 넷째, 위해평가체계를 구축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for 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in oriental(herbal) medicines. Four steps were taken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objective. First, fundamental risk assessment data were collected for each controlled hazardous substances. Secondly, their contamination was evaluated. thirdly,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draft s specification for official code based on the contamination evaluation, Lastly, a risk assessment system was established. Heavy metals, mycotoxins,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contamination test was carried out on 172 items out of 174 priority substances. Two items were excluded; deer antler was excluded for being a repeated item and arrowroot was not available in the market. The assessment method for official code was validated for its contamination test and the transfer rate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was evaluated. Negligible amount of heavy metals was detected in most items, except for the following items that are in need for contamination redu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Longgu(11.2ppm) had high arsenic content. Amongst the items with cadmium quantitation limit of 0.7ppm, in some of the speciens was cadmium content above the limit.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uelle, Angelica gigas Nakai, Codonopsis Pilosula root, Icadidae Periostracum, Peucedani Radix, and Houttuyniae Herba violated the recommended cadmium detection limit of 0.3ppm, having the cadmium content ranging from 0.3ppm to 1.6 ppm. Although mercury content was almost negligible in most samples, lead was detected in Cibotii Rhizoma (maximum=9.42ppm, mean=1.53ppm). Small amount of lead was detected in some items such as Curcumae Longae Rhizoma. Mycotoxins had a low average contamination of 1.1ppb except for some samples of Arecae Semen and Zizyphi Semen, which contained 36ppb and 10ppb of aflatoxin B1 respectively. The transfer rate of the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onto the extracts were less than 10% for Heavy metals, mycotoxins,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mination level in those items, with the contamination concentration level higher than the allowed limit, if the contamination occurred during the cultivation.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heavy metals and residual pesticides can reduced by implementing Good Agricultural Practices(GAP) and Good Manufacturing Practices(GMP) safety management certification procedure before and after the harvest. Food safety management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is extremely important. Sulfur dioxide is used as a preservative and a browning inhibitor through fumigation process.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fumigation and ventilation is essential for residue reduction. A risk profile of hazardous substances was established to serve as the primary material for risk assessment. A database of prescriptions and herbal medicines were built, suggesting the minimum and the maximum dosages. Frequently used prescriptions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n=100),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n=56) and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n=30) were adapted to the database. Exposure scenarios and, exposure expectation models were established for risk assessment. Risk assessment on Coptidis Rhizoma for sulfur dioxide was presented as a case study. Furthermore, risk assessment guideline was proposed for herbal medicin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1 1. 국문 요약문 3 2. Summary 6 Ⅱ. 총괄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9 제1장 총괄연구개발 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1 1. 총괄연구개발 과제의 필요성 및 목표 11 2. 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4 3.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5 4. 총괄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국외과학기술정보 31 제2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내용 및 방법 33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 내용 33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방법 34 제3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결과 및 고찰 39 1. 관리대상물질의 오염도 조사결과 개요 39 2. 관리대상물질의 기준규격 개요 77 3. 오염도 조사결과에 따른 공정서 규격 설정에 대한 사전 검토 81 4. 한약재 중 유해물질의 인체 노출량예측모델 구축 및 위해성평가 사례 83 제4장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89 제5장 총괄 주요 변경사항 91 제6장 총괄 참고문헌 93 제7장 총괄 첨부서류 95 부록 1. FAO/WHO의 위해평가 기본원칙 97 Ⅲ. 제1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111 제1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요약문 113 제2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목적 115 1.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115 2. 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15 제3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17 1. 세부연구개발의 연구 내용 117 2. 세부연구개발의 추진전략 및 방법 118 3. 세부연구개발의 추진체계 120 제4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121 1. 관리대상물질의 오염경로 121 2. 관리대상물질의 특징 125 3. 관리대상물질의 기준규격 제정현황 137 4. 한약 검체 구입 및 관능검사 141 5. 이행률 조사 대상 한약재 선정 143 6. 한약재의 유해물질 위해성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 144 7. 위해평가 체계 구축 239 제5장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참고문헌 257 Ⅳ. 제2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259 제1장 제2세부 연구개발과제 요약문 261 제2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263 1.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263 2. 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264 제3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265 1. 관리대상물질 선정 265 2. 신규대상물질(오클라톡신A) 분석법 검증 265 3. 대상 물질별 오염도 조사 269 4. 추출물에 대한 관리대상물질의 이행률 조사 274 제4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 275 1. 2세부연구개발의 추진전략?방법 275 2. 2세부연구개발의 추진체계 276 제5장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277 1. 관리대상물질 및 오염도 조사 범위 277 2. 신규대상물질(오클라톡신 A) 분석법 검증 277 3. 대상 물질별 오염도 조사 280 4. 추출물에 대한 이행률 조사 319 5. 신규대상물질(오클라톡신 A) 분석법 검증결과 고찰 321 6. 대상물질 오염도 조사결과 고찰 321 제6장 제2세부 참고문헌 325 Ⅴ. 제3세부연구개발과제 연구결과 327 제1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요약문 329 제2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331 1.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적 331 2. 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332 제3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333 1. 관리대상물질 선정 333 2.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의 한약재 중 분석법 검증 334 3. 오염도 조사 분석시료 340 4. 추출물에 대한 관리대상물질의 이행률 조사 341 제4장 제3세부연구개발과제의 결과 및 고찰 343 1. 관리대상물질 및 잔류농약 조사 범위 343 2.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 분석법 검증 343 3. 농약 잔류량 조사 결과 356 4. 잔류이산화황 오염도 조사결과 371 5. 추출물에 대한 이행률 조사결과 377 제5장 제3세부 참고문헌 381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395
dc.languagekor
dc.publisher식품의약품안전처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약(생약)분야관리대상물질의 안전성 연구
dc.title.alternativeRisk assessment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in oriental(herbal) medicin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위해평가
dc.subject.keyword프로파일
dc.subject.keyword노출량
dc.subject.keyword이행률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정선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TRKO201600010399&dbt=TRKO&rn=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15-33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자원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자원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