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제목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저자

이삼식

키워드
출산력 ; 가족
발행연도
201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인구 변동은 경제, 사회 등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인구 관리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음
□ 인구변동요인(출산, 사망, 국제이동)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출산력은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및 정책들과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변동하고 있음
□ 본 조사는 출산력 및 출산행태의 변화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정부의 인구정책, 가족보건정책, 가족복지정책 등을 수립하고 평가하기 위해 1960년대 이래 정기적인 조사로 실시됨
□ 연구의 목적은 인구, 가족보건, 가족복지 관련 각종 기본지표의 생산(2015년도) 및 시계열 변화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음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has conducted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every three years since the early 1970s. The 2015 Survey was conducted of about 11,000 ever-married women of childbearing ages (15~49) and never-married men and women aged 20~44, who resided in households within the enumeration districts for 201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he survey items were focused on marriage and fertility behavior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of different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groups.
As a result, the attitude toward marriage was considerably negative among single men and, to a greater extent, among single women. The proportion of ever-married women who failed to be pregnant without any contraception during the previous year was over 10 percent, of whom 40 percent were diagnosed as infertile. The rate of pregnancy waste was 20 percent. The rate was higher for ever-married women who lived in rural areas, were employed, or married later.
About ten percent of ever-married women showed indifferent attitude about having a child. Such attitude was more pervasive in single persons: 18 percent for single men and 30 percent for single women. The reasons cited by the ever-married women for wanting no more than one child were “burden for education of child”, “incompatibility between work and life”, etc. Three-fifths of the ever-married women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a career break after marriage, 45 percent after first childbirth, and 20 percent after second childbirth. About 15 percent of the demand for institutional childcare went unmet for children aged 0~2; almost 30 percent of the demand for after-school care for 4th graders and young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nt unme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expected to be of use not only for academic purposes but also i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related policie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표본설계 및 추정방법 15
제1절 표본설계 15
제2절 가중치 30
제3장 조사완료 기혼여성 및 미혼남녀의 일반특성 37
제1절 조사완료 기혼여성의 일반특성 37
제2절 조사완료 미혼남녀의 일반특성 55
제4장 기혼여성의 결혼 행태 67
제1절 결혼에 관한 태도 67
제2절 결혼 실태 86
제3절 결혼비용 90
제5장 기혼여성의 임신 및 출산 행태 99
제1절 자녀에 대한 태도 99
제2절 임신 실태 131
제3절 출산 행태 157
제6장 기혼여성의 산전?산후 관리 실태 179
제1절 산전 관리에 관한 사항 179
제2절 분만에 관한 사항 183
제3절 산후 관리에 관한 사항 188
제4절 수유 실태 197
제7장 유자녀 가정의 자녀양육 행태 207
제1절 육아가사 분담에 관한 사항 207
제2절 취학 전 자녀의 돌봄 방법 230
제3절 초등학교 재학 자녀의 돌봄 방법 247
제4절 자녀 양육비에 관한 사항 260
제8장 기혼여성의 일-가정양립 행태 267
제1절 취업 여성의 결혼 및 출산 전후 경력단절 실태 267
제2절 취업 기혼여성의 일가정양립 관련 태도 284
제3절 비취업 기혼여성의 취업 의향 296
제4절 일 형태와 자녀 출산에 대한 기혼여성의 태도 304
제9장 기혼여성의 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및 욕구 311
제1절 저출산 현상에 대한 인식 311
제2절 출산 관련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와 욕구 314
제3절 저출산 대책에 대한 인지도 및 도움정도 322
제10장 미혼남녀의 결혼가치관 331
제1절 결혼에 대한 태도 331
제2절 부부의 역할에 관한 태도 353
제3절 다양한 가족에 대한 태도 362
제11장 미혼남녀 본인의 결혼 계획과 정책 욕구 383
제1절 본인의 결혼 계획 383
제2절 결혼정책에 대한 욕구 399
제12장 미혼남녀의 출산 및 자녀에 대한 태도 405
제1절 자녀에 대한 태도 405
제2절 본인의 출산에 대한 태도 429
제13장 미혼남녀의 저출산 현상 인식과 정책 욕구 439
제1절 저출산현상 관련 인식과 태도 439
제2절 출산 지원정책에 대한 욕구 446
제14장 결 론 453
부 록 46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5-31
ISBN
978-89-6827-285-1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