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보장 재정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 Aging Society and Eononmic Impact of Increasing Social Welfare Financ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원종욱
dc.contributor.author장인수
dc.contributor.author백승진
dc.contributor.author이진국
dc.contributor.authorItalo Lopez Garcia
dc.contributor.authorDavid M.K.Knapp
dc.date.accessioned2016-05-12T02:04:42Z
dc.date.available2016-05-12T02:04: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bn978-89-6827-27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928
dc.description.abstract□ 저출산, 인구 고령화 등 사회 흐름에 따른 재정압박과 복지논쟁 촉발 □ 보건·복지분야 지출효율화 요구 증대 □ 사회보장분야 재정소요증가에 따른 재정압박 가중 및 사회적 갈등 고조 □ 사회보장지출의 지속적 증가 및 전망 □ 모형 구축 및 분석의 필요성 □ 사회보장지출의 장기 전망을 위한 모형 구축의 필요성 □ 사회보장지출의 지속적인 증가가 전망됨에 따라 단기, 중장기로 구분된 기간별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 분석 등 합리적 근거에 기반한 사회보장제도의 발전방향의 논의가 필요함
dc.description.abstractSocial security expenditure in Korea is of enormous significance to our future and next gene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 socioeconomic effect of social security finance. As part of the effort to make improvement suggestions for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we analyzed the socioeconomic effect of social security finance and investigated the microeconomic behavior of households. Our study is conducted jointly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and RAND Corporation. In its part, KIHASA constructed and used macro/micro SAM(Social Account Matrix) and a macroeconometric model, while RAND examined the microeconomic effect of the National Pension on household behaviors concerning savings, work, and retirement decisions.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basic pension and national health care expenditure, despite their redistributive effect on the elderly population, have a nega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Also, the analysis based on a dynamic behavioral model indicated preferences towards work and consumption. From these results, we drew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enormous increase in old-age and health expenditure may to some extent stymie economic growth. Second, risk aversion is similar to estimates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Third, women’s work decisions tend to be more responsive to earnings than men’s. Fourth, both women and men tend to have a lower level of willingness to work as they age. Lastly, Korean men tend to have a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o work when their spouses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5 제2절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16 제3절 연구의 구성 19 제2장 사회보장재정의 현황과 전망 21 제1절 공공사회복지지출의 현황 및 전망 23 제2절 복지지출의 지속적 증가 전망 26 제3절 우리나라 사회보장체계의 평가 29 제3장 사회계정행렬을 적용한 사회보장재정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37 제1절 분석방법론 39 제2절 기초연금 49 제3절 건강보험 59 제4장 거시계량모형을 이용한 국민연금기금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95 제1절 국민연금기금과 거시계량모형 97 제2절 연구방법 및 모형의 구조 106 제5장 국민연금제도의 저축, 근로, 은퇴 결정에 관한 동태 행위 모형(Dynamic Behavioral Model) 123 제1절 서론 125 제2절 동태 행위 모형(Dynamic Behavioral Model) 129 제3절 데이터 135 제4절 모형 구축 140 제5절 잠정 분석 결과 150 제6절 정책 실험 158 참고문헌 167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보장 재정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dc.title.alternativeAging Society and Eononmic Impact of Increasing Social Welfare Financ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인구구조 변화
dc.subject.keyword사회보장재정
dc.subject.keyword파급효과
dc.subject.keyword사회계정행렬
dc.subject.keyword거시계량모형
dc.subject.keyword동태행위모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원종욱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장인수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5-21-0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5-21-09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