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기초보장정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Basic Social Secur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신욱
dc.date.accessioned2016-04-25T08:55:19Z
dc.date.available2016-04-25T08:55:19Z
dc.date.issued2016-01-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690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2/2016.01.4
dc.description.abstract2015년부터 시행된 맞춤형 기초생활보장제도는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의 기초보장정책 모두에게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편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향의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는 개편된 제도의 안착을 위한 노력으로써,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성 확대 여부를 점검하고 관련된 사회보장제도들의 자격 기준선을 정비하며 다양한 자격기준선 설정의 논리적, 현실적 근거들을 명시하는 일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는 이번 제도 개편에 반영되지 못한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일인데, 근로빈곤층을 위한 소득보장제도를 강화하고 욕구 영역별로 사회보장제도의 보장성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는 것이 그 대표적인 과제일 것이다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기초보장정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Current State and Challenges of Basic Social Securi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기초보장
dc.subject.keyword빈곤율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강신욱
dc.identifier.doi10.23062/2016.01.4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16
dc.citation.volume231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31
dc.citation.endPage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16년 1월 통권 제231호, pp.31-4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1 No.231, pp.31-4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