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and Variables Influencing on Age Integration: Comparison among Age Group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정세미
dc.contributor.author이미우
dc.contributor.author임정숙
dc.date.accessioned2016-04-12T06:53:36Z
dc.date.available2016-04-12T06:53:36Z
dc.date.issued2016-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5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집단별로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령집단은 20-44세, 45-64세, 65세 이상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령별 연령통합인식의 수준과 연령통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은 연령집단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세 연령집단 모두 지역사회접근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족주의로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활동참여수준은 45-64세 연령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나이로 인한 차별경험은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연령통합적인 사회구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모든 연령이 접근 가능한 지역환경구성, 긍정적 가족가치관과 관계 형성, 세대 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사회참여 등을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and to find out variables affecting age integration by three different age groups.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00 adults who are aged 20 and over.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varied across age groups, 2)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3) community accessibility and familis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plain age integration, 4) social particip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explain age integration only in the 45-64 age group. However, discrimination experiences due to age were not related to perception of age integration. Suggestions for age integration and constructions for age integrated society have been propo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dc.title.alternativePerceived Level of Age Integration and Variables Influencing on Age Integration: Comparison among Age Group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dc.subject.keyword연령통합 영향요인
dc.subject.keyword지역사회접근성
dc.subject.keyword가족주의
dc.subject.keyword사회참여
dc.subject.keywordAge Integration
dc.subject.keywordMajor Variables Influencing on Age Integration
dc.subject.keywordAccessibility of Community
dc.subject.keywordFamilism
dc.subject.keywordSocial Participa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261
dc.citation.endPage28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261-28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1, pp.261-285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