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학령기 아동의 사교육 이용에 대한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 Predictor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of Korean Stude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신경
dc.contributor.author김소아
dc.contributor.author송요현
dc.date.accessioned2016-04-12
dc.date.available2016-04-12
dc.date.issued2016-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5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9차년도 가구 및 아동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학년 증가에 따른 사교육 이용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아동, 부모, 가구의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차년도 기준으로 초등학교 4, 5, 6학년생 758명이 이용하는 사교육 수와 그 비용이 학년이 증가하면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고학년이 되고 상위학교에 진학하면서 이용하는 사교육 수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실질 사교육비의 증가량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변화하는 정도는 개인마다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특성 중 사교육 수와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출생순위, 학업 성적, 문제행동중 주의집중문제와 비행, 공격성이었다. 셋째, 부모 특성에서는 아버지의 학력이 사교육비용의 초기값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부모의 교육참여는 고등학생 시점일 때 사교육 이용의 변화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구 특성으로는 아동가구원 수, 소득, 거주 지역이 모두 아동의 사교육이용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ild, parent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the trajectorie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in Korean stud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A sample of 7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2006-2014 were used for this analysis. First, the data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among students over time. The change rate of the expenses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rajectorie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during 9 years. Second, child characteristics affecting 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were birth order, academic achievement, attention problem, delinquency, and aggression. Third, father’s education level was a positive predictor of the use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at the initial level. Parental participation was rel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n the use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Fourth, all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siblings, income, and residential distri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trajectorie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학령기 아동의 사교육 이용에 대한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dc.title.alternativePredictor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of Korean Studen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사교육 이용
dc.subject.keyword사교육비
dc.subject.keyword잠재성장모형
dc.subject.keyword한국복지패널
dc.subject.keywordExtra-curricular Education Use
dc.subject.keywordExtra-curricular Education Expenses
dc.subject.keywordLatent Growth Modeling
dc.subject.keywordKorea Welfare Panel Study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6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30
dc.citation.endPage6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30-6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 No.1, pp.30-60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