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족변화에 따른 결혼‧출산행태 변화와 정책과제 = Family Change and Its Impact on Marriage and Fert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삼식
dc.contributor.author최효진
dc.contributor.author윤홍식
dc.date.accessioned2016-02-15T06:47:30Z
dc.date.available2016-02-15T06:47: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isbn978-89-6827-264-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212
dc.description.abstract가족은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현상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여 간다. 가족 및 가구의 변화는 결혼 및 출산행태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결혼이나 출산행태의 특성을 알고 미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가구 모습의 변화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가구분류에 대한 사례를 종합하여 우리나라 가구를 결혼 및 출산 관련 요소들을 중심으로 재구조화하고, 이들 가구 유형별 출산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변화 파악 및 가족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abstractSocio-economic change such as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economic development, etc.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diversifying family in terms of not only its scale but also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ructure. Indeed, many studies have made a consensus that changes in household and family affect the marriage and childbearing practices. Accordingly, analysis on the change in household and family is of great importance to understand and identify change in marriage rate and fertility rat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made attempts at restructuring the household by biological, socio-economic and geographical factors that may reflect the rapid change in society, and analyzing a variety of marriage and fertility dynamic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 with his/her child(ren) and/or spouse, household of childless couple, household for single parent and both parents cohabiting with unmarried child(ren) over 25 years old, etc. have increased in both absolute and relative terms; and such changes in family and household appeared to differentiate the fertility behaviors and thereby level. Such linkage between structural change of family/household and fertilit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family policies through not only by the individual(specifically women) approach but also the family/household approa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13 제3절 연구방법 15 제2장 선행연구 고찰 17 제1절 가족 및 가구의 개념과 범주 19 제2절 가족의 변화 20 제3절 가족변화의 경향과 가족정책의 경향: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24 제3장 가구구조의 재구조화 65 제1절 재구조화 근거에 관한 논의 67 제2절 인구센서스 상 가구 구성 86 제3절 우리나라 가구 재구조화 96 제4장 가구구성 변화 추이와 전망 107 제1절 세대 변동 추이와 전망 109 제2절 가구 유형별 특성 및 변동 추이 113 제5장 가구 유형과 결혼?출산 행태 177 제1절 가구 유형과 결혼 행태 179 제2절 부부가구 유형과 출산 실태 185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197 제1절 분석 결과 종합 199 제2절 정책적 제언 203 제3절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207 참고문헌 209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가족변화에 따른 결혼‧출산행태 변화와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Family Change and Its Impact on Marriage and Fertili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가구유형
dc.subject.keyword결혼‧출산행태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삼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효진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5-21-0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5-21-01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