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형 복지모형 구축 - 생애주기별 소득·자산·소비 연계형 복지모형 구축 = Designing Korean Welfare State Model: Based on Life-time Economic Well-being

제목
한국형 복지모형 구축 - 생애주기별 소득·자산·소비 연계형 복지모형 구축 = Designing Korean Welfare State Model: Based on Life-time Economic Well-being
저자

여유진 ; 김미곤 ; 구인회 ; 김수정 ; 윤자영 ; 허순임 ; 최준영

키워드
생애주기 ; 소득 ; 재산 ; 소비지출 ; 빈곤 ; 불평등
발행연도
201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보고서는 소득·자산·소비의 구조와 행태 그리고 최근 변화를 생애주기별로 분석하고, 상호관계성을 파악함으로써 생애주기별 복지제도의 구성과 대응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고서에서는 생애주기별, 계층별 소득·자산·소비의 추이, 구조,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주요국가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복지모형 설계의 체계와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come, assets, consumption distribution, changes in life events, and various bases for the economic welfare of individuals and families income, property, distribution of consumption, changes, and distribution condition by life and to identify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welfare system.
Firs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distribution index has been improved in general from 2003 to 2011. However, development of distribution is showing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type of household by life cycle. For example, economic welfare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nger generation has been relatively undermined compare to the married couple household of younger generation, and during this time, income poverty rate has increased for elderly household. Also, whereas internal difference in income, asset, and consumption decreased by type of household, it was identified that the inequality level has increased by household type. Meaning, it appears as though the economic welfare level of a group conducting stable labor activity increased during this period, but welfare level of those who cannot, especially single-person household of younger generation and single elderly household, has been relatively declined instead. Secondly, the property distribution by life cycle of Korea is in clear ‘inverse V’ shape, and this is an aspect that commonly appears in countries with strong familism as Italy and Greece. In other words, relative property level of adolescents is high by gift and inheritance and relative property level of seniors is low. Thirdly, the quintile income share of Korea is relatively unequal compare to the OECD average, and the quintile property share is relatively equal. This implies that the redistributive effect in income with state intervention is relatively unsatisfactory. Lastly,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existed between income, property, and consumption, and it was identified that correlation of the three got strengthened from 2003 to 2011 around both tail sections, that is, around adolescent and elderly headed households of so-called ‘commonality’ phenomenon. Specially, unlike how each unequality level decreased, a new form of unequality is getting strengthened as a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property became closer.
The top priority of the welfare states is to reduce poverty as well as to smooth the level of economic welfare by life cycle.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ncome, property, and consumption of Korea, the economic welfare level of the two tail sections of life cycle got worsened in comparison to the general improvement in the distribution condition during this period. This signifies a result of insufficient function of the welfare state.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a system that can stabilize income and consumption of adolescents and seniors by life cycle and to vitalize ways to promote income of seniors as a countermeasure of income security.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부 서 론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9
제2부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 기초분석
제2장 이론적 검토 및 기초분석 37
제1절 서론 37
제2절 이론적 검토 38
제3절 분석 방법 및 분석틀 45
제4절 가구유형별 가구주 및 가구 특성 49
제3장 생애주기별 소득 분포 67
제1절 서론 67
제2절 가구유형별 소득분포의 특성 68
제3절 가구유형별 소득의 빈곤과 불평등 경향 72
제4절 가구유형별 소득활동과 소득구성의 특성 87
제4장 생애주기별 재산 분포 103
제1절 서론 103
제2절 가구유형별 재산분포의 특성 104
제3절 가구유형별 재산의 빈곤과 불평등 경향 117
제5장 생애주기별 소비 분포 131
제1절 서론 131
제2절 가구유형별 소비지출 분포의 특성 132
제3절 가구유형별 소비지출의 빈곤과 불평등 136
제6장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 종합적 분포 147
제1절 서론 147
제2절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의 분포 148
제3절 가구유형별 소득・재산・소비지출의 빈곤과 불평등 151
제4절 소득・재산・소비의 결합 측정치 161
제3부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 심층분석
제7장 소득불평등과 코호트 효과 171
제1절 연구목적 171
제2절 선행연구 173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183
제4절 가구 소득불평등과 코호트 효과 189
제5절 개인수준의 소득불평등과 코호트 효과 198
제6절 빈곤위험과 코호트 효과: 국가간 비교 202
제7절 소결 206
제8장 여성의 경제활동과 생애주기별 소득・소비・재산 연계 20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09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211
제3절 연구 방법 212
제4절 연구 결과 216
제5절 소결 239
제9장 노인빈곤 악화 요인 분석 24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43
제2절 노인 빈곤 악화 추이와 관련 요인 검토 244
제3절 연구 방법 254
제4절 분석 결과 256
제5절 소결 273
제10장 소비지출 불평등의 변화 추이와 관련 요인 27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79
제2절 이론적 검토 및 분석 방법 280
제3절 2인 이상 도시가구의 소비지출 불평등 변화와 요인 285
제4절 가구유형별 소비지출 불평등 비교 295
제5절 소결 301
제11장 보건의료지출의 형평성 분석 31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11
제2절 한국의 의료비 수준 312
제3절 과부담 의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316
제4절 연구방법 317
제5절 연구결과 320
제6절 소결 332
제4부 결 론
제12장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 분석의 정책적 함의 337
제1절 생애주기별 안녕과 복지국가 337
제2절 생애주기별 소득・재산・소비 분석과 한국형 복지국가 338
참고문헌 34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5-24
ISBN
978-89-6827-277-6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