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ge Integration Indicator System

제목
연령통합 지표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ge Integration Indicator System
저자

정경희 ; 황남희 ; 이선희 ; 김주현 ; 정순둘

키워드
연령통합 ; 연령유연성 ; 연령다양성 ; 연령형평성 ; 사회지표 ; 삶의 질
발행연도
201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연령통합적 구성원리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연령통합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 개발: 현황ㆍ역량 - 저해요인
□ 각 영역별 연령통합 현황 파악
□ 다양한 관점별 연령통합 정도 평가
□ 연령통합성 제고 방안 제시

As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on our society is multi-dimensional,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population ageing with policies on older people alone. It has been discussed that changes should be pursued in social composition that not only concern the welfare of older persons but also can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ve ‘elective affinit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n indicator system with which to examine the level of age integration in Korean society while presenting the age-integrated society as the model that the Korean society should pursue to create sustainability even in the process of the ageing of Korean society, and to maintain the high quality of life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previous researches and some theoretical issues on age integration.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age integration indicator system composed on 3 components and 20 indicators,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expert survey. The third, based on these indicators, the actual status of age integration of Korea is reviewed based on an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the US, Japan, Germany and Sweden and a time series comparison of main 5 indicators. The last part makes policy suggestions and priority setting toward an age-integrated society.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연령통합 논의의 배경과 의의 17
제1절 연령통합 논의의 배경 및 의미 19
제2절 연령통합의 개념 25
제3절 연구동향과 주요 관심사 30
제4절 시사점 32
제3장 지표관련 선행연구 검토 35
제1절 관련 지표체계 검토의 틀 37
제2절 관련 지표체계 검토 40
제3절 시사점 68
제4장 연령통합지표 개발 71
제1절 지표 개발과정 73
제2절 연령통합지표 개요 85
제3절 개별지표의 정의 및 산식 97
제5장 한국의 연령통합 수준 127
제1절 자료원 현황 129
제2절 한국의 연령통합 현황 136
제3절 한국의 연령통합 수준 변화 추이 177
제4절 전문가의 평가 183
제6장 결 론 187
제1절 주요 결과 종합 189
제2절 영역별 정책적 함의 193
제3절 지표체계 관련 향후 과제 198
참고문헌 20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5-21-08
ISBN
978-89-6827-271-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