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보장재정 재구조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연구 = A long-term trategy for reconciling welfare spending and social justice in an aged society

제목
사회보장재정 재구조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연구 = A long-term trategy for reconciling welfare spending and social justice in an aged society
저자

고제이 ; 박인화 ; 최영준 ; 양재진 ; 권혁진 ; 하솔잎

키워드
사회보장지출 ; 고령사회 재정합리성 ; 건강보험 ; 국민연금 ; 사회보장 구조조정
발행연도
201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중장기 사회보장 발전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현 사회보장체계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재정지출이 현재는 물론 향후 고령사회에서도 정당성과 타당성을 갖는가에 대한 실체적 진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보장 정책 영역별 제도 운영과 이에 따른 재정동향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사회보장 실태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현행 사회보장체계에서는 사회보험지출이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회보험중심의 사회보장구조가 고령사회에서 어떤 위험을 야기하는 가를 진단하기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 급여지출의 배분구조에 대한 인구고령화의 영향을 실증분석과 마이크로시뮬레이션을 통해 진단해 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고령화로 인한 기대수명의 이질적 증가와 그에 따른 건강보험 부담과 급여의 배분에 있어 불평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인구고령화에 수반한 저성장과 고용불안정성 확대로 국민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기능이 취약해 질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adequacy of Korea’s current welfare system as a social safety net for the coming era of aged society.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what constitute an appropriate long-term welfare strategy and what it takes to make one. Our critical evaluations found that the existing welfare plans remain unsupported by evidence. We also reviewed changes in social protection policies across European welfare states, focusing on the effect of fiscal consolidation in the UK, Sweden, and Germany.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welfare system in Korea, the social adequacy of Korea’s social insurance-oriented welfare structure was inspected based on the distributional impac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National Pension Scheme. Our micro-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welfare structure needs to be adjusted to give more protection for precarious workers who are highly unlikely to be covered by the social insurance system, as the population ageing may cause the economy to slow down and job security to wither.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사회보장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과 과제 19
제1절 바람직한 사회보장 계획의 개념 21
제2절 기존 사회보장계획의 한계 31
제3절 증거-목표기반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과제 42
제3장 복지국가의 사회보장제도와 재정개혁 55
제1절 분석개요 57
제2절 영국·독일·스웨덴의 재정동향 59
제3절 영국·독일·스웨덴의 사회보장제도와 재정개혁 71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86
제4장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발전과정과 재정실태 93
제1절 사회보장제도의 성장과 운영체계 95
제2절 사회보장지출과 국가재정 운용동향 104
제3절 사회보장 재정구조와 주요 정책영역별 과제 115
제5장 국민건강보험 급여지출의 배분 합리성 133
제1절 기대수명의 이질적 변화에 따른 급여지출의 배분 135
제2절 건강보험료 부담의 형평성 141
제3절 소득계층별 의료서비스 이용 153
제4절 소득수준별 건강결과 158
제5절 소결: 고령사회에서의 구조적 위험 167
제6장 국민연금 급여지출의 배분 합리성 171
제1절 불안정 노동의 개념과 실태 173
제2절 국민연금 사각지대와 불안정 노동 187
제3절 미시모의실험 기반 국민연금 가입·수급 장기전망 213
제4절 소결: 고령사회에서의 구조적 위험 229
제7장 결 론 237
제1절 주요 연구결과 239
제2절 사회보험 중심구조의 취약성 보완을 위한 정책노력과 한계 245
제3절 재정운용에 있어서의 개선과제 252
참고 문헌 255
부 록 26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5-15
ISBN
978-89-6827-258-5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계획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