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공적이전소득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Role of Public Transfer Incom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윤희정
dc.contributor.author신자은
dc.date.accessioned2016-01-15
dc.date.available2016-01-15
dc.date.issued2015-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50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장애수용도, 자아존중감, 그리고 일상생활만족도의 세 영역으로 측정하고 이에 공적이전소득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4차년도와 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수급자와 미수급자의 특성에 대한 평균비교 검정과 삶의 만족도 결정의 순서형 로짓모형(ordered logit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이전 소득은 장애수용도에는 양, 자아존중감과 일상생활만족도에는 음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영향의 강도는 매우 미미하였다. 학력이나 근로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취업과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주요한 결정요인은 건강관련 요인 및 사회적 참여 요인이었으며, 특히 현재의 건강상태, 대인관계 및 조직적응력 및 차별의 경험의 영향이 주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적이전소득 제도의 개편 및 확대 노력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근로기회 및 의료보장 지원, 소속감과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영위를 가능케하는 장애인 지원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role of public transfer income. Using the 2011 and 2014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life satisfaction of total 3,990 register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identified by categorial indicators of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daily satisfaction. Results of the Ordered Logit estimations showed that public transfer income has mixed and weak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lf-rated health status, interpersonal skill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daily activities are major contributors to life satisfaction whereas the impacts of socio-economics factor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labor income are limited. These findings implied that public transfer income should be enhanced to effectively promote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Policy efforts further need to incorporate health care assistance and social-psychological suppo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공적이전소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e Role of Public Transfer Incom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삶의 만족도
dc.subject.keyword장애수용도
dc.subject.keyword자아존중감
dc.subject.keyword일상생활만족도
dc.subject.keyword공적이전소득
dc.subject.keyword장애인고용패널조사
dc.subject.keyword순서형 로짓모형
dc.subject.keywordLife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Disability Acceptance
dc.subject.keywordSelf-esteem
dc.subject.keywordDaily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Public Transfer Income
dc.subject.keywordOrdered Logit Regress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432
dc.citation.endPage4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4호, pp.432-4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 No.4, pp.432-46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