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Focusing on Region of Origin and Gender Differenc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균
dc.contributor.author손인서
dc.contributor.author김승섭
dc.date.accessioned2015-10-15T08:47:26Z
dc.date.available2015-10-15T08:47:26Z
dc.date.issued2015-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643
dc.description.abstract최근 20년 동안 한국으로 유입되는 결혼이민자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14,485명의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2012년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공기관이나 직장/일터 등 다섯 가지 상황에서의 인종/종족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연관성이 결혼이민자의 성별이나 출신지역(서구권, 비서구권-아시아, 비서구권-기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이민관련 교란변수를 보정하였을 때, 다섯 가지 상황 모두에서 차별경험은 나쁜 주관적 건강수준과 연관되어 있었다. 하지만 출신지역과 성별에 따라 나누었을 때, 연구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여성 혹은 비서구권 지역 출신 결혼이민자들의 경우는 다섯 가지 상황 모두에서 차별경험이 낮은 주관적 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러나 남성 혹은 서구권 출신 결혼이민자 집단에서는 직장/일터에서의 차별 경험을 제외하고는 차별경험과 자가평가 건강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사이의 연관성이 결혼이민자들의 출신지역이나 성별에 따라 달라진다는 본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이민자들이 겪는 인종/종족 차별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abstractDuring the past decades, a massive influx of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has transformed the racial/ethnic composition of Korean populat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became a social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Korea and checked how the association differs by their region of origin and gender. We analyzed 14,485 marriage migrant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2. We assessed perceived discrimination for the five different social situations such as street, public office, and workplace to examine its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We fou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discrimination at five different social situations and health after adjusting potential confounder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However, after we divided marriage migrants by their region of origin or gender,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shown among non-Western or female marriage migrant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among Western or male marriage migrants except at workplace.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f within-group differences among marriage migrants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연관성: 출신지역과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ssociation between Discriminat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Marriage Migrants in South Korea: Focusing on Region of Origin and Gender Differenc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차별경험
dc.subject.keyword인종/종족 차별
dc.subject.keyword결혼이민자
dc.subject.keyword주관적 건강수준
dc.subject.keywordPerceived Discrimination
dc.subject.keywordMarriage Migrants
dc.subject.keywordSelf-rated Health
dc.subject.keywordSouth Korea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421
dc.citation.endPage4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1-4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 No.3, pp.421-452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